정부로부터 책정된 긴급경영안전자금 등 중소기업 지원정책자금이 자금난에 허덕이는 경기도내 중소기업들의 신청이 급증하면서 배정된 예산보다 두배 가까이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지역의 중소기업 비중이 전국 대비 32% 수준에 달하지만 정부가 경기지역에 책정된 중소기업 정책자금 규모는 전체 예산(3조6천555억원)의 17.2%(6274억원)에 불과해 추가적인 예산 배정이 시급한 상태다.
24일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에 따르면 정부로부터 올해 도내 중소기업을 위한 전체 정책자금 예산은 6천274억원이 책정됐다.
하지만 도내 중소기업들이 신청한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1조518억원으로 배정예산 대비 167.6%를 초과하면서 사업전환지원 자금을 제외한 모든 정책자금이 조기 마감됐다.
2천341억원 배정된 신 성장기반지금은 배정금액 대비 159% 초과한 3천735억원이 신청됐고 1천800억원이 배정된 창업초기 기업육성자금은 172.5% 늘어난 3천106억원이 초과 신청됐다.
또 1천455억원이 배정된 긴급경영안정자금은 배정자금대비 무려 181%를 초과한 2천643억원이 신청됐으며 414억원이 배정된 개발기술사업화자금도 172% 늘어난 712억원이 초과 신청됐다.
이에 따라 중진공은 신속한 자금공급을 위해 정부내 협의로 증액이 가능한 연예산 20% 범위내에서 증액을 건의하고 있으나 추경과 맞물려 애로를 겪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당분간 중소기업의 자금난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중진공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현재 사업전환자금(264억원 배정)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금이 조기마감되었으나 정책자금을 신청하려는 중소기업은 오히려 더 늘어나고 있다”며 “특히 접수마감을 안내할 때마다 중소기업들의 한숨소리를 들을 때 가장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에 정부로부터 책정된 경기지역 정책지원 예산이 조기 바닥나면서 기업들의 자금애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예산증액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