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약재에 대한 리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각 정부 부처나 지방자치단체가 내린 리콜 권고·명령을 했거나 사업자가 자진 리콜을 실시한 실적은 총 495건 이었다.
이 중 의약품·한약재에 대한 리콜이 가장 많은 230건으로 전년(182건)보다 26%(46건) 증가했다. 이는 전체 리콜 건수의 47%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어 식품(124건)과 자동차(75건), 공산품(29건) 순이었다.
주된 리콜 사유는 카드뮴, 이산화황 등의 위해성분이 허용기준을 초과했기 때문이라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특히 한약재에 대한 리콜이 201건으로 단일 품목 중 최다를 기록했다. 의약품은 29건 이었다.
한약재에 대한 리콜 건수는 2007년 129건, 2008년 170건, 지난해 201건으로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08~2009년 의약품·한약재 전체 리콜 건수의 87%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식품과 자동차에 대한 리콜 건수는 전년대비 각각 38%, 45% 감소했으며 공산품은 2008년 0건에서 지난해 29건으로 증가했다.
식품의 경우 전년도에 급증했던 멜라민 사태가 진정되면서 리콜 건수가 크게 줄었고, 자동차는 리콜명령 건수가 84건에서 4건 줄어 전체 실적이 감소했다. 반면 공산품은 이륜자전거와 완구, 유모차 등 유아용품을 중심으로 리콜 건수가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정부나 지자체의 명령에 따른 리콜은 337건으로 전년보다 26% 감소한 반면 사업자의 자진 리콜과 권고에 따른 리콜은 각각 141건과 17건으로 전년보다 62%, 750%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