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재테크] 무리한 전략보다 기본원칙 지켜라

지출축소·소득확대 방안 동시고려 저축여력 확보 우선
보험지출액 적정…가족 실비·가장 종신 상품구성 점검
청약 한구좌만 유지·적금불입보다 약관대출 상환 우선

Q. 저축 안되는 가계구조… 탈피방법 어떻게?

딸아이 둘을 키우고 있는 외벌이 4인가족입니다. 현재 작은 점포를 하나 운영하고 있으며 수입은 월 450~550만원 정도가 됩니다. 적은 수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날에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수입이 아니라 때때로 수금을 하고, 수시로 가계 경비를 지출하다 보니 돈이 모이질 않습니다. 매월 가게 임대료 90만원, 전기와 가스비 등 40만원, 재료비 등 31만5천원, 월세 50만원, 보혐료 30만원, 청약 6만원, 적금 5만원, 약관대출이자 4만2천원, 아이들 유치원비와 학원비 등 63만원, 국민연금 및 의료보험 17만원, 주유비 30만원, 외식비 등 기타 잡비 105만원 정도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보증금 2천만원과 여유자금은 230만원 정도가 전부 입니다. 노후대책도 전혀 없는데 돈은 모이질 않으니 도대체 뭘 어떻게 해야 저축해가며 살지 모르겠습니다.

A.현재 두 자녀가 있고, 주택을 마련해야 하며 노후도 준비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차근 차근 하나씩 준비하기에는 이미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렇다고 무리한 재테크 전략을 가져가는 것은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킬 뿐이므로 어렵더라도 기본적인 재테크 원칙을 지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 소득에 관해

직장인이 월 세후 소득이 평균 500만원이라면 소득규모가 큰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영업자가 월 평균소득이 500만원이고, 소득의 유입이 불규칙적이며 이 소득이 각종 비용을 제하지 않은 소득이라면 결코 평균적인 가계소득보다 높은 수준의 소득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월 소득 중 가게운용에 필요한 고정지출만도 132만원 정도가 되기 때문에 실제 가계소득은 월 평균 370만원 미만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또 부가적으로 가게운영을 위한 휴대전화비와 주유비 등이 40만원 가까이 지출되고 있는 데다 월세지출과 두 자녀분의 교육비까지 감안한다면 가계의 월 소득규모는 가계의 운영에 부족한 수준입니다.

◇ 지출축소와 소득확대방안을 동시에 고려해야

현재의 소득구조 하에서 지출을 줄여야할 필요성이 충분히 존재합니다. 또 쉽지 않겠지만 미래를 생각해 저축규모를 더 늘려야 합니다. 지출 내역상으로만 볼 때에는 도시가스와 식비·잡비 부분에서 일정 정도 축소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는 것은 당연히 소득규모의 확대입니다. 가게운영이 잘 되서 소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 좋겠지만 자영업이라는 것이 마음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소득 유입의 불규칙성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소득을 늘리는 것이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소득이 늘지 않는다면 가계의 재정상황 개선이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므로 지속적으로 이 부분은 고민해 봐야 합니다.

◇ 포트폴리오 점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금융상품 중 보장성보험은 상품의 구성이 가족분들 각자 명의의 의료실비보험과 주 소득원이신 남편분의 종신(또는 정기)보험으로 구성돼 있는지 점검해 보길 바랍니다. 월 지출보험료 수준은 적정선으로 판단됩니다.

청약상품의 경우 현실적으로 단기간 내에 청약을 할 수 있는 재정여건이 아니고 약관대출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한 구좌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금불입 보다는 약관대출 상환이 우선이므로 적금과 축소한 청약상품 불입액을 합해 대출상환에 주력하길 바랍니다.

소득확대나 지출축소로 저축여력을 확보한 후에 주택자금 마련을 위한 적금과 적립식펀드에 먼저 가입하고, 노후대비와 자녀 교육자금마련을 위해 투자형 장기상품인 연금펀드나 변액보험을 우선적으로 가입해 소액이라도 장기간 투자를 해 나가길 바랍니다.

<자료제공 : 재테크 포탈 No1. 모네타 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 : 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