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부천시가 추진 중인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 사업이 건조기의 잦은 결함과 시의 늦장 대응, 검증되지 않은 업체의 제품 사용 등으로 준공이 지연, 물의를 빚고 있는 가운데 <본지 25일자 18면> 시공사 대우와 감리단인 동부 측이 업체 선정과 건조기 결함 사실 등에 대해 서로 책임 떠밀기로 일관, 유착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27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MBT 사업 추진를 위해 시공을 맡은 대우 측은 MBT 시설에 사용되는 성형기, 건조기에 대해 시설업체인 ㈜원일에 하청을 줘 발주했다.
그러나 건조기에 기계적인 산소결함으로 수 차례 정상가동이 되지 않는 것은 물론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찾지 못해 준공까지는 장시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시가 이미 가동 중인 원주소각장을 방문해 건조기(제작업체 기흥)를 살펴본 결과, 내부온도가 450도까지 올라가도 아무런 문제 생기지 않은 데 반해 시가 추진하는 MBT의 건조기는 내부온도가 300도까지 상승하면 쓰레기에 불이 붙어 제대로 작동을 할 수 없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실정임에도 시공사인 대우 측과 감리를 맡고 있는 동부 측은 건조기 업체선정 과정과 건조기 결함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자, 서로 모르쇠 입장을 고수하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동부 감리단 측은 “건조기의 쓰레기가 불붙는 현상은 시공사인 대우 측이 모든 것을 총괄, 관리하기 때문에 아는 것이 없다”고 일축했으며 대우 측은 MBT 사업과 관련 업체선정 기준, 건조기 결함 등에 대해 답변을 회피했다.
특히 대우 측은 계약에서 이행을 지체해 발생한 손해배상액(지체상금)을 전체 공사비 143억원 중 계약금의 1천분의 1을 시에 납부해야 하며, 손실금만도 하루 1천400만원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최근까지도 대우 측에 공문을 전달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시와 업체간 유착의혹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MBT 사업과 관련, 문제점 등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18일 원주 쓰레기 처리장을 견학했다”며 “기술적인 문제 등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에 대해 전문성이 필요해 감리단에 맡겼기 때문에 감리단과 대우 측이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