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최근 단행한 승진·정기 인사를 둘러싸고 새로운 코드인사라는 우려와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5일자 20면 보도) 일부 인사와 관련해 밀약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사실들이 연이어 제기되면서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특히 지방공직사회의 꽃이라는 서기관 인사와 관련, 숱한 의혹과 설들이 구체적으로 나돌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어 자칫 엄격한 공직수행에 장애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의 목소리마저 나오고 있어 후속대책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논란은 관례처럼 내려오던 단일 시점의 승진·후속 인사가 깨지면서 시작됐다. ‘될 사람이 됐다’는 세간의 평가속에 문을 연 이번 승진·정기 인사는 그러나 예상과 달리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5일까지 무려 10여일간 연속해서 계속됐다. 또한 승진인사의 경우 과거와 달리 사무관 인사에 이어 서기관 인사가 진행된 것은 물론 상반기 근무평정 이후 진행되면서 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좌천설이 나돌던 자치행정국 산하 핵심부서 사무관들이 건재를 과시한데다 담당 국장마저 예상을 뒤집고 구청장으로 영전하면서 논란에 기름을 부으면서 밀약설 등 새로운 의문으로 일파만파 퍼져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김명진 전 수지구청장의 명퇴로 1953년생 일부 공직자들까지 공직에서 물러나면서 촉발된 서기관 승진 인사 등과 맞물려 제기되고 있는 밀약설의 경우 ‘고참 공직자들의 승진 1년 후 명퇴’가 주내용으로 이번 인사에서 A, B 씨 등의 이름까지 구체적으로 떠돈다. 앞서 제기된 항명설과 함께 ‘연공서열에 기반한 새로운 인사시스템의 정착’이란 명분으로 공직 일부가 강하게 시장을 설득했다는 전언까지 흘러나오면서 공직 내부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이밖에도 서기관 교육 파견, 전보 등을 둘러싼 일부 인사들의 ‘본청 국장후 구청장 전보’ 등의 명분쌓기, 항명 등과 함께 공직사회가 일에서 손을 놓았다는 얘기도 심심찮게 들린다.
한 공직자는 “시장 취임 이후 단행된 인사와 마찬가지로 이번 인사 역시 과연 시장의 의지일까 의문을 갖고 있는 공직자가 다수”라며 “시민과 시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우려와 논란을 불식시키는 강력한 행정력과 소통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밀약설 등은 말도 안되는 터무니 없는 소설”이라고 일축하고 “공직 안팎에서 신뢰하는 행정을 위해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를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