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와 도교육청간 초유의 업무보고 거부사태, 공식사과 요구를 둘러싼 힘겨루기가 ‘도’를 넘어서 자존심을 건 감정 대결로 치닫고 있다.
‘유감’ 표명 이상의 공식사과 요구를 묵살한데 대해 본회의장 퇴장조치를 경고하자, 김상곤 교육감이 아예 사전통보없이 본회의 출석을 거부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발생하고 도교육청 간부들이 퇴장당하는 수모를 겪는 등 최악의 갈등을 빚고 있다.
도의회는 7일 제265회 임시회 2차 본회의를 열고 김문수 지사와 김 교육감을 상대로 도정과 교육행정에 관한 질의를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김 교육감이 사전에 사유서 제출이나 양해도 없이 본회의에 불참하면서 허재안(민·성남) 의장은 정회를 선포, 민주통합당·새누리당 대표와 교육위원장 등과 함께 30여분간 대책을 숙의한 뒤 도교육청에 대한 의사일정을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허 의장은 6일 열린 1차 본회의에서도 모두 발언을 통해 도교육청의 업무보고 거부사태를 ‘도의회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자 오만방자한 행위’라고 규정하고, 김 교육감의 사과와 책임있는 조치 등을 요구했지만 김 교육감은 이번 사태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으면서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허 의장이 본회의 직전까지 공식 사과가 없을 경우 본회의장에서 퇴장조치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지만, 김 교육감은 이에 대한 해명은 커녕 ‘본회의 불참’이라는 초강수 카드를 꺼내들어 사태를 악화시켰다.
허 의장은 “교육감이 사유서도 없이 본회의장 출석을 하지 않았다. 김 교육감을 비롯한 도교육청의 의회 경시를 묵과할 수 없다”며 “김 교육감의 공식사과가 있을 때까지 도교육청에 대한 모든 의사일정을 거부하겠다”고 밝힌 뒤 본회의장에 나온 도교육청 간부 5명에 대해 퇴장을 명령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공식 입장을 통해 에둘러 해명과 함께 ‘의회 권위만 앞세운 처사’라고 날을 세웠다.
도교육청은 “허 의장이 6일 1차 본회의 때 요구한 교육감의 ‘사과’와 ‘책임있는 조치’에 대해 하루 심사숙고한 뒤 8일 입장을 표명하겠다고 양해를 구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감의 사과 등 아무런 조치가 없다는 이유로 교육청에 대해 본회의장 퇴장조치를 내렸다”며 “이는 상대기관에 대한 지나친 처사이자 의회의 권위만을 내세운 것으로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김 교육감은 내부 논의를 거쳐 적절한 시일 내에 공식입장을 밝힌다는 입장이어서 8일 예정인 임시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