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대선 가늠할 풍향계… 중앙당 차원 지원유세 활발

● 총선기간 어떤 일이 있었나

4·11 총선이 이틀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가 총선 승리를 위한 막판 총력전에 돌입했다. 이번 총선은 올해 말 치러지는 대선의 판세를 가늠하는 바로미터로 여겨지며 그 어느때보다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이번 총선의 최대 격전지로 꼽히고 있는 경기도의 경우 막판까지 승부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혼전양상을 보이고 있는 형국이다.

■ 새누리당 박근혜 ‘원톱’ vs 민주통합당 ‘집단지원’=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 다수당 지위를 판가름하는 최대 승부처인 경기 등 수도권을 집중공략했다.

새누리당의 경우 선거 초반부터 박근혜 중앙선대위원장의 원톱 체제 선거전을 예고한 만큼 박 위원장은 공식선거운동기간 중 총 6회에 걸쳐 경기지역을 방문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과 영남지역을 하루 일정으로 소화하는 강행군을 이어가고 있는 박 위원장은 수많은 유권자들의 악수 세례에 손에 무리가 오면서 ‘부상투혼’을 펼치기도 했다.

이에 비해 한 대표는 조금 나은 편이다.

한 대표 역시 박 위원장 못지 않은 강행군으로 성대에 무리가 오는 등 ‘링거투혼’을 펼치고 있지만 경기지역을 맡고 있는 손학규 전 대표를 비롯해 문재인·손학규·이해찬·정동영·정세균 등 당대 대선주자들이 지역별 지원에 나서 든든한 힘이 되고 있다.

■ 야권단일화 경선과 당내 경선 후유증= 4·11총선을 꼭 한 달 앞둔 지난 3월10일,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와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는 야권연대 협상을 극적으로 타결했다.

총선을 한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마음을 놓고 있던 단수후보들은 물론이고 당내 경선준비에 온 힘을 쏟던 후보들 모두 큰 부담을 떠안아야 했다.

이유는 바로 선거비용. 이들 후보는 당내 모바일 투표와 현장 투표 과정에서 치른 내부 진통을 극복하기도 전에 통합진보당과의 경선을 준비하면서 돈과 시간이라는 이중고를 치뤄야만 했다.

경선을 통해 결정된 민주통합당의 후보들은 야권단일 경선까지 거치며 당내 심사비(300만원)와 경선 비용(1천만 원)을 부담하고, 경선 참여 인구가 유권자의 2%에 미달할 경우 다시 실시해야 하는 여론조사 비용으로 1000만 원을 추가 부담하는 등 본선보다 치열한 예선을 치뤄야만 했다.

■ 여야 긴장시킨 악재들= 총선 막판에 불거진 대형 악재가 막판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자리잡고 있다.

선거 초반 터진 민간인 불법사찰 문건공개로 인해 새누리당은 부동표의 절반가까이를 잃는 듯 보였지만 곧이어 터진 김용민 후보의 막말 파문으로 부동표의 행방을 가늠할 수 없게 됐다.

이들 사건들이 양당에게 호재와 악재를 동시에 안겨주며 그렇지 않아도 치열했던 선거가 한층 더 치열해지며 네거티브 선거전이 일찌감치 과열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결국 공약 대결은 사라지고 네거티브 선거전이 치열해지면서 부동층은 좀처럼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자 부동표를 잡기 위한 중앙당 차원의 지원유세가 그 어느때보다도 활발하게 전개됐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