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안산상록을·사진) 민주통합당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는 15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최근 당내 후보들의 경선 룰 관련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예비경선(Cut-off)과 후보의 본선경쟁력 제고와 과반의 지지 정통성 확보와 연관된 결선투표제에는 찬성하지만, 모바일 투표와 관련해서는 모발심 왜곡으로 인한 역선택, 부실, 오류의 문제와 민주주의 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있고, 결선 후 상대 진영 등으로부터 후보의 정당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등록은 모바일과 인터넷, ARS 등으로 접수하되, 투표는 유권자가 투표소에서 직접 투표하는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당 지도부는 각 후보들이 모두가 공정하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대선 경선의 룰을 만들어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지적하고, “모든 후보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주어야만 당의 자원인 후보들을 공명정대하게 국민들에게 알릴 수 있고, 이번 경선이 대선승리의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손학규, 김두관, 정세균 후보는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대선 경선 룰을 좌우하려 해서는 안 된다”며 “컷오프 여론조사를 당원만을 대상으로 실시하기로 합의했다는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야말로 세몰이 담합이자, 정치 결착이며, 묵과할 수 없는 원칙 훼손”이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대선 경선의 주인은 국민과 당원이지, 특정 정파나 후보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다”며 “민주통합당이 만들어 모두가 받아들이고 있는 국민경선제와 결선투표제의 도입 문제도 특정 정파의 이해관계 때문에 좌지우지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 13일 경기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문수 경기지사가 도지사직을 유지한 채 새누리당 대선 경선에 뛰어든 동안 상당한 도정공백이 우려된다”며 “김 지사는 도정공백에 대한 책임을 지고 국가로부터 받은 도지사 급여 및 활동비를 반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