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귀농·귀촌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귀농인 지원을 위한 조례가 단 1건도 없어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경기도의회 농림수산위원회의 의뢰를 받은 장안대학교 연구팀은 15일 ‘5도(都)2촌(村) 활성화방안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경기도 특성에 맞는 5도2촌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현재 도와 강원도를 제외한 도 단위의 전 지자체에서는 귀농인 지원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지역들은 조례안에 귀농인에 대한 도지사의 책무를 비롯해 귀농인의 책무, 귀농인 육성 지원계획의 수립, 지원사업, 사후관리, 지원 취소 및 자금 회수 등 자세한 지원방안을 담고 있다.
도 역시 귀농인을 유치해 미래농업경영인력을 확보하고 농업·농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귀농인의 정착과 지원에 관한 정책적 수단이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도시와 농촌이 혼합된 도의 지역특성을 감안, 의정부·구리·수원·여주 4개 권역을 벨트화하고 해당 지역에 ‘귀농·귀촌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다.
의정부 권역은 남북 협력, 구리 권역은 국제교류, 수원 권역은 지식 기반, 여주 권역은 물류 전초로 구분했다.
도청 내에는 귀농·귀촌과 관련된 ‘컨트롤 타워’를 설치, 중장기 발전방안과 각 부서에서 시행하고 있는 관련정책을 통합해 계획 수립 및 실행, 성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