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진행하는 수질검사와 골프장 잔류농약 검사에 대한 사후관리 부실과 전문성 결여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도의회 보건복지공보위원회(위원장 고인정)은 지난 9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복지위에 따르면 도내 지하수, 약수터, 비상급수 등 4천231개소에 대한 먹는물 수질을 검사한 결과 19%인 813개소가 먹는 물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원은 이같은 수질검사 결과를 의뢰받은 기관이나 민원인에게 통보한 후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식수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파악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심숙보(새·비례) 의원은 “부적합 판정을 받은 음용수에 대해 시·군과 협조를 통해 시설폐쇄 등의 사후관리 조치가 철저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연구원이 최근 3년간 270개 골프장 잔류농약 검사를 하면서 동일한 장소에서 샘플을 채취하거나, 전문성이 결여된 보조인원을 참여시켜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강석오(새·광주) 의원은 “검사결과의 신뢰성에 의문이 간다”며 “골프장 농약잔류 검사에 대한 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으므로 전문적이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 지도·점검에 만전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