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광교신도시 2부제수업은 막아야

광교신도시 초등학교 증설이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향후 2부제수업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원인이 어디에 있든 학생 유입이 급증하여 일시적으로 2부제수업을 해야 한다면 어쩔 수 없는 노릇이기는 하다. 하지만 21세기에 그것도 첨단 신도시에서 구시대 유물인 2부제수업이 부활된다면 창피한 줄 알아야 한다. 지난 1월 국가권익위원회 중재로 증설에 합의했던 경기도시공사, 수원시는 물론이고 증설을 놓고 공방을 벌인 경기도, 수원시교육청, 입주민들 모두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먼저 수원시교육청은 도와 협의도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도청사 이전 부지 일부를 활용한 ‘이의8초교’ 신설안을 교육부에 투융자심사를 요청한 잘못을 저질렀다. 2015학년도 개교를 위해 한 해 한 차례인 심사를 놓치지 않으려 했다는 수원시교육청의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최종 권한을 가진 땅 주인의 승낙도 없이 건축허가부터 신청한 격이다. 중간에 협의 과정이 있었고, 결론만 나지 않은 상태였다고 해도 수원시교육청의 책임이 가벼워지지 않는다.

경기도의 애매한 행보도 이해하기 어렵다. 경기도는 수원시교육청이 5개의 후보지를 놓고 고심 중이라는 걸 모르지 않았다. 특히 그 가운데 1순위가 도청사 이전 예정지 일부라는 것을 알았을 뿐더러 나머지 후보지는 학교 용지로 부적당하다는 주장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일부 주민들의 반대 여론이 제기되자 불가 방침을 천명하고 나섰다. 애초에 안 되는 곳이라면 처음부터 강하게 반대를 했어야 한다. 뒤늦게 감정싸움 하듯 나서는 모양새가 좋아 보일 리 없다.

어쨌거나 ‘이의8초교’ 건립이 무산되거나 늦어질 경우 산의초등학교의 과밀화가 불을 보듯 뻔하다. 산의초교는 2012학년도에 초등 6학급, 유치원 1학급 규모로 개교했으나 1년여 만에 초등 45개 학급, 유치원 5학급 급팽창했다. 더구나 오는 11월에는 인근에 1천300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라고 한다. 42개 학급 규모인 인근 신풍초교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조만간 결론이 나지 않으면 이들 학교 학생들은 2부제 수업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지금은 네 탓 내 탓 공방이나 벌일 때가 아니다. 한 박자 빠르게 해결책을 모색해도 시원찮다. 경기도는 도청사 이전 부지가 진정으로 불가하다면 책임 있는 대안을 내놓고 수원시교육청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 수원시교육청 역시 도청사 이전지만 고집할 게 아니라 다른 대안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로 재검토에 들어가야 한다. 아이들이 콩나물시루 학교에서 시대착오적인 2부제 수업을 받지 않도록 시와 경기도시공사도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