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연변 그리고

‘독립전쟁론(獨立戰爭論)’이 있다.

때는 1905년과 1907년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하고 이어 군대가 해산된다. 종말의 시작이다. 황제는 순종이었지만 권력은 친일매국노의 손에 있었다. 애국지사들은 국내에서 움치고 뛸 수 없는 세월이었다.

하여, 국외로 나가 독립운동의 근거지를 만들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그 곳에서 군대를 만들어 결정적인 시기에 국내로 진격해 조국을 되찾자는 ‘론(論)’이다.

이 운동의 중심에 이회영과 이상설이 있었다.

이회영은 1906년 여름 광복운동을 국내에서만 펼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이상설·이동녕·유완무·장유순 등과 만주에서 광복운동을 전개하기로 한다. 그리고 그 적임자로 이상설을 선택한다. 물론 이회영의 추천이다. 이상설도 “재주는 없지만 만주에 나아가 운동을 전개하겠다”고 청한다.

이상설은 1905년 정2품 의정부 참찬이었다.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머리를 돌에 찧어 자살을 시도한다. 이 광경을 목격한 백범 김구는 ‘옷에 핏자국이 얼룩덜룩한 채 여러 사람의 호위를 받으며 인력거에 실려 가면서 울부짖었다’고 백범일지에 썼다. 죽음의 문턱에서 그는 국외에 독립운동의 근거지를 건설하기로 결심한다. 1906년 4월 웃는 얼굴로 이회영에게 이별을 말하고 인천항에서 중국인 상선으로 잠행(潛行), 상해를 지나 블라디보스토크를 경유, 용정촌에 안착한다. 그곳에서 ‘서전서숙’을 연다. 용정촌을 선택한 이유는 러시아와 만주, 국내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동포들이 계속 이주해오고 있다는 점이 장점이었으리라. 민심을 규합해 교육시키고 군대를 만들어 독립을 꾀하려는 투사(鬪士)에게는 더욱 더. 그렇게 불과 100여년 전 독립전쟁주의자는 용정촌에서 조국 독립의 총을 들었다. 그래서 용정촌은 독립전쟁론의 시원지(始原地)다.

그 용정촌이 바로 중국 연변 조선족자치주에 있다.

13일 경기신문이 이 지역 최대 신문인 연변일보와 교류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했다. 이 MOU는 독립운동의 역사를 너무 쉽게 잊고 살아온 세월에 대한 반성에 기인한다.

동북아 신언론 운동의 첫 걸음이라 믿는다. /최정용 경제부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