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일자리상담사 90%가 비정규직이라니

본보는 지난 10월29일자 ‘취업성공 일등 공신 주민센터 직업상담사’란 사설을 통해 직업상담사들이 도민들의 취업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내용을 소개한 바 있다. 직업상담사는 직업에 관련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제도다. 이들은 상담업무, 직업소개업무, 직업관련 검사 실시 및 해석업무,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업무, 직업상담 행정업무 등을 수행한다. 비슷한 직종으로 취업설계사가 있다. 취업희망자 및 구인처 발굴·관리, 구인·구직 상담, 취업알선, 취업 후 직장 적응 지원을 실시하는 등 경력단절자의 취업을 지원한다.

청년실업자가 증가하고 중·노년층과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희망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도와줄 직업상담사와 취업설계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8월까지 각 지자체의 주민센터 직업상담사를 통해 취업한 취업자 수는 모두 6천80명이나 됐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의 처우는 개선해야할 점이 많다. 불안정한 일자리와 낮은 급여가 사기를 꺾고 있다. 실제로 경기도의회 강득구(안양) 의원은 경기북부지역의 새일본부 및 센터 종사자의 90% 이상이 기간제 근로자라고 밝혔다. 종사자 96명 가운데 87명이 비정규직인 것이다.

고용상태가 불안정한데다가 급여마저도 약했다. 취업설계사의 월평균 급여는 145만5천원이었고, 직업상담사의 월평균 급여는 155만6천원 수준이었다. 다른 사람들의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이들이 정작 자신들은 고용 불안정과 저임금이라는 대우를 받고 있었던 것이다. 강 의원은 “이처럼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상담사들이 좋은 일자리를 안내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이는 경기북부지역의 새일본부와 센터 종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여성가족부의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전체 기간제 근로자 비율은 평균 81.7%였다.

그런데 유독 경기도는 대구, 충남과 함께 90%를 넘겼다. 이런 문제점으로 인해 2011년부터 2013년 9월 말까지 취업설계사와 직업상담사 48명이 퇴직했는데 이 가운데 1년 미만 퇴직자는 30명이나 됐다. 불안한 근로 상황과 열악한 처우의 영향으로 북부지역 새일센터의 상용직 취업률은 2011년 2개 센터 45.7%, 2012년 3개 센터 43.2%, 2013년 9월 현재 5개 센터 28.1%로 감소하고 있다. 새일센터는 늘어나지만 상용직 취업률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들이 자부심을 갖고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처우가 개선돼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