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출마예정자들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다. 정치권은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 선거에 사활을 건다. 새 정부 출범 2년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이 크기 때문이다. 아직도 공명정대한 선거문화가 정착되지 못하여 야합과 비리가 판치는 현실이 안타깝다. 불법·부정선거로 당선된 사람들은 법의 심판을 받아 재선거를 하므로 막대한 예산을 낭비한다. 무보수명예직으로 출발한 지방자치단체장과 의원들은 많은 보수를 받아 실직자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선거를 앞두고 기초자치단체장 후보에 대한 정당공천 배제를 여야가 아직까지 타협하지 못하고 있다. 원론적으로 공천배제에는 동의하면서도 각 당의 이해관계 때문에 쉽게 타협하지 못한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정쟁의 소지에 대한 의미를 수반하는 성격이 될 가능성 크기 때문에 치열한 선거공세가 예상된다. 정치판 보·혁 구도의 지루한 논쟁은 국민들을 짜증스럽게 하고 있다. 올바른 지자제 선거를 통한 국민통합을 위한 협력의 시대가치를 구현해 갈 때이다.
그동안 지역을 위해 충실하게 봉사하면서 주민을 존중하며 성실하게 살아온 사람을 단체장과 지방의원으로 선출하여야 한다. 여야 각 당은 지방선거 120일 전인 내년 2월4일 17개 광역단체장 예비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선거체제로 공식 전환한다.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단체장 후보군도 서서히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내년 6월4일에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경기도지사를 포함한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761명, 기초의원 2천888명, 시·도교육감 17명을 동시에 선출한다. 인격과 능력을 갖춘 후보자를 선출하여야한다. 지방선거가 민심의 가늠자로 여겨져 여야는 모두 사활을 건 대결로 나서고 있다. 분명한 것은 지방자치가 중앙정부나 정당에 의해서 좌우돼서는 안 될 일이다.
진정으로 지역주민들이 존경하는 후보자를 선출하여 봉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야한다. 선거의 승패를 논하기 전에 어떤 인물을 선출하여야 되느냐의 당위성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의 전개가 우선이다. 내년 지방선거도 정치적 격변이 없는 한 영·호남 대결로 상징되는 동서분할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지방자치는 지역발전을 위한 헌신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중양정부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 기여하여야한다. 풀뿌리민주주의인 지방자치제도의 성장을 위해서도 유권자가 깊은 관심을 갖고 현명하게 선택하여야한다. 높은 도덕성과 업무처리역량을 가진 순수한 지역사회지도자를 선택하는 일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