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19일) 박근혜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대국민 담화’를 통해 “최종 책임은 대통령인 저에게 있다”고 했다. 그리고 해양경찰청 해체, 안전행정부와 해양수산부의 대폭 축소 등을 골자로 하는 정부기관 대수술책을 내놨다. 세월호 의인들을 영웅이라 칭하며 그들의 이름을 부르면서 눈물도 흘렸다. 새정치민주연합의 김한길 대표도 “그 정도면 진정성이 느껴진다”고 했을 정도다. 하나 눈물이 갖는 진정성은 그때뿐이다. 찡한 감동을 주고는 허무하게 지나가 버린다. 세월호 참사로 인한 현 정부의 위기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말이다. ‘국가안전처’ 신설이나, 관피아 척결 방안 등 재난대응시스템과 관료제도의 개선안이 허다하게 제시됐지만, 이를 실행에 옮길 제대로 된 사람이 없다면 이 모든 것은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국민을 지키지 못한 정부에 대해 해체와 축소라는 초강수의 벌을 내린 것은 국민의 정서를 달래기 위한 측면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대대적인 인적쇄신, 국민이 납득할 정도의 개각과 청와대 개편이 없다면 이는 단지 하드웨어 개조에 불과할 뿐이다. 오히려 시스템을 바꿈으로 인해서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 세월호 참사가 아니더라도 지난 1년간의 국정운영을 놓고 봤을 때 지금의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으로는 변화를 꾀하기 어렵다는 것이 많은 국민들의 생각이다. 오죽하면 여당인 새누리당의 이완구 원내대표나, 친박 중진인 서청원 의원 등이 ‘내각 총사퇴’를 주장하고 있겠는가. 박 대통령은 임기 시작 전부터 인사로 인해 낭패를 봤다. 그로 인해 ‘불통인사’라는 낙인까지 찍혔다. 과거 정권에 흔했던 지역안배조차 지켜지지 않았고, 군인과 율사, 관료들만 대통령 주변에 넘쳐나고 있다.
아무리 제도와 시스템이 훌륭히 갖춰져 있어도 이를 운용하는 사람을 잘못 앉히면 그 제도나 시스템은 무용지물이 된다. 전문성과 공공성, 책임감과 사명의식을 지닌 인물을 찾아 중용하는 것이 국가개조의 첫걸음이 되어야 한다는 얘기다. 특히 이번 세월호 인사는 국민의 마음을 보듬고 어루만지는 마지막 수단이라고들 한다. 이번 인사쇄신의 첫머리에 화합이 얹혀야 하는 이유다.
‘친박(親朴)’이 아닌 ‘반박(反朴)’, 나아가 야당 측 인사 가운데서라도 적절한 사람을 찾아 삼고초려의 정성을 기울여 기용하는 모습을 국민은 보고 싶어 한다. 박 대통령의 눈물에 엄청난 참사를 불러온 이 나라의 부조리를 개선하고 국민들의 슬픔과 분노조차도 끌어안아 다시 일어서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소망이 담겨 있었다면 그 진정성은 제대로 된 인사쇄신을 통해 확인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