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1%가 아닌 99%를 위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민주주의- 자본주의의 새로운 생각 담아
부와 권력의 집중에 대해 날선 논쟁 유도
월가 점거운동-미국 민주주의 위선 서술

 

월가 점거운동을 이끌었던 데이비드 그레이버 런던정치경제대학 교수가 가장 강력한 정치 이념이 돼 버린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관한 대담하고 새로운 생각을 담아낸 책.

지금의 민주주의에 나타나는 부와 권력의 집중, 대중이 부채노동자가 돼 가는 현실은 세계 경제 공황의 주체인 1%의 정치와 금융계의 결탁에 기반을 둔 경제체제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의 현장감 넘치는 이야기들은 민주주의의 역사와 기득권의 숨겨진 음모, 아테네 민주주의의 탄생, 미합중국의 건국에서부터 20세기의 전 지구적 혁명과 21세기에 등장한 활동가들의 운동까지 우리가 배워온 중요한 역사적 순간들과 개념들의 이해가 조작됐다는 근거를 도발적으로 제시해 충격을 준다.

저자는 월가 점거운동의 시작과 끝을 목도했던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며, 미국식 민주주의가 얼마나 위선적이고 폭력적인지에 관해 서술한다.

그는 책에서 월가 점거운동이 어떻게 일어났고(1장), 어떻게 위축돼 갔는지, 왜 이러한 운동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는지, 왜 이 운동이 미국과 전 세계에 널리 퍼져 막대한 영향을 미쳤는지 등에 대해 분석한다(2장).

특히 금융과 정치체제 간의 돈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그러한 연결고리를 유지 확대해 가는 미국의 군사전략과 보수 언론인과 지식인, 경찰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1%를 위한 지금의 민주주의를 비판하며, 국민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참여민주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또 흔히 미국을 국민을 위한 민주국가라고 말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1%를 위한 공화국일 뿐이라고 말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민주주의는 허구이고 1%의 필요에 의해 조작됐음을 역사적 근거를 통해 주장한다(3장).

그러나 그레이버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99%를 위한 진정한 민주주의가 어떻게 가능하고 어떻게 변화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전술적 방법과 전략적 모델들을 제시한다.

월가 점거운동 당시의 경험을 토대로 대중적 합의과정을 통해 어떻게 의사결정이 이뤄지는지에 대한 전술적 방법과 전략적 방법으로써의 대안적 사회 모델들을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4장).

마지막장에서 저자는 합리성, 자유시장, 서구문명, 생산주의, 노동, 관료제, 공산주의에 대한 편견 등 우리 사회에 널리 펴져 있는 사회적 통념들의 허구성을 밝히며, 기대할 것이 없는 1%에게서 99% 대중의 진정한 자유를 되찾기 위한 대중적 혁명은 끝나지 않았음을 강조한다./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