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인사와 독단적 경영으로 재단의 사유화를 조장하고 있다’며 노조로부터 사퇴요구를 받고 있는 조창희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가 재단을 잠시 떠나기로 했다.
조 대표이사는 지난 12일 재단 1층 경기아트플랫폼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것을 막고 한 발짝씩 양보하자’는 차원에서 대표 권한을 각 본부에 대폭 이양하고, 재단에 대한 경기도 정기감사(2월 15~26일, 예비감사 포함)가 끝나는 무렵 병가를 내는 방식으로 잠시 재단 직원들과 공백기간을 갖고자 한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조 대표는 “일련의 사태와 관련해 지난 3~5일 경기도를 방문했다. 이후 입장을 정리해 이사장, 경영본부장 등 경영진들과 협의한 결과, 내부적으로 해결을 하자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17여개월 간 의욕적으로 일하려고 했지만, 그 과정에서 직원들의 마음을 어루만지지 못한 점은 미안하다. 대표로서 이런 상황까지 온 것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이어 “설 이후 이러한 절차를 밟으려고 했는데, 도 감사는 받는 것이 대표로서의 의무이자 책임이라고 판단, 감사가 끝나고 29일쯤 병가를 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노조가 제시한 병가 이후 사퇴 등 거취에 대해선 “도의 입장 등 맞물려 있는 부분이 있다 보니 본인이 일방적으로 결정할 사항이 아니다. 그렇다고 절대 자리에 연연하는 것도 아니다. 병가 이후 도 감사 결과 등에 대해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 이후의 상황을 고려해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노조가 주장하는 상향식 업무 시스템 붕괴와 조직 사유화, 외부에서 들리는 여러 루머 등에 대해 “모든 진실은 밝혀진다. 대표가 일일이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대응하다 보면 할 일을 못한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지난 11일 경기문화재단 통합노조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조 대표의 즉각 사퇴를 재차 요구했다.
정규직 직원 139명(전체 정규직 179명)을 대상으로 노조가 지난달 벌인 대표이사 사퇴 찬반 투표 결과에선 85.6%인 119명이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섭 통합노조위원장은 “투표 결과 등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재단이 방황하는 기간을 줄이려면 조 대표의 사퇴가 원칙”이라며 “명확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는 것은 책임에 통감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밖에 판단되지 않는다. 명확한 사퇴 일정이 없다면 도에 면담을 요청하는 등 퇴진을 위한 모든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