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교육비 지출 격차가 7분기 만에 8배까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 지출 격차는 학력 차이로 이어지고, 부모의 소득수준이 대물림되기 때문에 빈부 격차가 고착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최고 소득층인 5분위의 월평균 교육비 지출은 66만5천461원으로, 1분위 계층 지출(8만3천297원)의 8배에 달했다.
교육비 중 정규교육비 지출은 7.1배, 사교육에 해당하는 학원 및 보습교육 지출은 9.1배까지 각각 벌어졌다.
2013년 1~2분기 6배 가량이던 교육비 지출 격차는 같은해 3·4분기 5.8배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2014년 2분기 8.5배까지 격차가 벌어졌다가 6∼7배 수준으로 좁혀졌지만 지난해 4분기 7.1배에서 올해 1분기 8배로 격차가 확대됐다.
1, 5분위의 교육비 지출 격차가 8배 이상으로 벌어진 것은 7분기 만이다.
교육비 지출 격차가 커진 것은 최고 소득층의 교육비 지출은 늘어난 반면 저소득층은 장기화되는 경기 불황으로 지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실제 5분위의 교육비 지출은 올 1분기에 전년 동기보다 3.9% 늘어난 반면 1분위의 지출은 11.6% 감소했다.
이에 대해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교육 지출은 당장 가계의 후생을 높이지 않고 비용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소득 증가율 자체가 둔화하면 더 빨리 줄이게 되는 항목”이라며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여력이 없으니 교육비 지출 격차가 벌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1분기 1분위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41만291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9% 감소했지만 5분위 가구는 오히려 1.8% 늘어난 906만6천539원으로 차이가 더 벌어졌다. 소득에 따른 교육비 지출 격차는 학력 차이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빈부 격차의 고착화로 연계될 수 있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2국장은 “교육비 지출 양극화를 줄일 수 있도록 고교 서열화를 완화하고 대학입시 경쟁 강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며 “방과후학교에서도 사회적배려대상자에 대한 어드밴티지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