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했던 8월 ‘전기요금 폭탄’이 현실화되면서 고지서를 받아든 일반 서민들의 깊은 한숨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긴 추석 연휴로 부모·친지들의 선물과 용돈 등 들어간 비용도 만만치 않은데, 예상보다 더 많이 나온 전기요금에 가계부담이 더욱 가중됐기 때문이다.
18일 한국전력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대비 8월 요금이 늘어난 가구는 1천628만4천가구로, 이 중 871만가구는 증가분이 50%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그 가운데서도 291만가구는 전달보다 전기요금이 2배 이상 증가했다.
7월보다 8월 10만~20만원을 더 내는 집이 45만8천가구, 20만~30만원 더 내야 하는 집이 10만4천가구, 30만원 이상을 더 내는 집은 4만가구에 이른다.본격적인 무더위에 접어드는 8월에는 전달보다 사용량과 요금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작년과 비교하더라도 전기료 폭탄은 심각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전기료가 전달보다 50% 이상 증가한 가구가 504만 가구로, 올해보다 367만가구 적었다.
정부가 전기료 폭탄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현행 6단계인 누진제 구간 기준선을 50㎾h씩 높이는 일시적인 전기료 할인책이 적용됐기 때문에 그나마 충격이 조금 줄었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이번 전기요금 할인혜택이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수원 송죽동에 사는 김모(39·여)씨는 “8월 고지서를 봤더니 전달보다 1.5배 가량 전기를 더 썼는데, 요금은 평소의 3배가 넘은 30만5천만원이 청구됐다”며 “많이 쓴 만큼 나온다는 것은 알았지만, 예상보다 더 많이 나와 당황했다. 요금이 할인됐다곤 하지만, 느끼지 못할 정도”라고 토로했다. 이에 한전 관계자는 “지난달 가구당 평균 전기요금 할인액은 9천110원으로, 전년보다 6천280원 늘었다. 특히 254만가구는 오히려 전달보다 전기요금을 덜 낸 것으로 확인됐다”며 “누진제로 통상 사용량 증가율에 비해 요금 증가율이 높지만, 올해는 여름철 전기요금 할인 효과로 사용량과 요금 증가율에 차이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전기료 개선을 위해 전기요금 당·정 태스크포스(TF)를 지난달 출범, 오는 11월까지 새로운 전기요금 체계 개편안을 마련키로 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