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4대 은행 기준금리 인하에도 최대 실적 올린 비결은?

주택담보대출 가산금리 인상
이자이익만 4조6857억 올려

4대 시중은행이 지난 3분기에 기준금리가 인하됐음에도 주택담보대출 가산금리를 올려 최대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은행연합회 공시자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6월 기준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연 2.66~2.82% 수준이었다.

한국은행이 지난 6월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기준금리를 0.25%p 내렸지만 이후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오히려 역주행해 9월에는 연 2.77~3.17%로 뛰었다.

그 원인은 은행들이 구체적인 산정기준과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재량껏 산정하고 있는 가산금리로, 은행의 대출금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에 조달금리를 얹은 은행 기준금리에 다시 고객들의 신용도를 토대로 한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진다.

은행 기준금리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지난 6월 연 1.53~1.57%에서 9월 1.46~1.52%로 소폭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가산금리는 연 1.13~1.26%에서 1.25~1.70%으로 상승했다.

4대 은행이 이 기간 올린 가산금리는 평균 0.24%p로, 기준금리 인하분(0.25%p)과의 차이가 0.01%p에 불과하다. 은행 중 가산금리가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곳은 우리은행으로, 6월 1.24%에서 9월 1.70%로 0.46%p 상승했다. KB국민은행은 같은 기간 0.19%p, 신한은행은 0.18%p, KEB하나은행도 0.12%p 각각 올렸다.

특히 해당 기간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292조6천734억원에서 300조7천792억원으로 3%(8조1천58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이들 은행은 3분기에만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천600억원 증가한 4조6천857억원을 이자이익으로 쓸어담았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활용해 이익을 방어하고 있다”며 “당국은 은행들이 금리나 수수료 구조에서 합리적이고 공평하게 개인과 기업을 상대로 영업했는지 점검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