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2년간 분양 100만 가구 육박… 눈앞에 다가온 ‘입주대란 공포’

전국 재고아파트의 10.3%
인허가 물량도 145만 가구
건설사 밀어내기 늘어날 듯
공급과잉·역전세난 우려

최근 2년새 신규 공급된 아파트 물량이 전국의 전체 재고아파트의 10분의 1을 웃도는 100만 가구에 이르고 있어 앞으로 아파트 공급과잉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1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45만4천960가구(12월 예정물량 포함)의 신규 아파트가 공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된 아파트 물량은 이보다 많은 51만8천15가구로, 최근 2년간 주택시장에 실제 분양된 물량이 100만 가구(총 97만2천975가구)에 육박했다.

이는 전국 재고 아파트(948만2천809가구)의 10.3%에 달하는 물량이다.

경기도(251만9천129가구)와 서울(156만2천774가구)을 제외하고 전국 광역 시·도별 재고 주택 수보다 많은 물량이 2년간 쏟아진 셈이다.

부산지역 전체 아파트(69만3천724가구)와 비교하면 1.4배에 달하고 인천(56만5천493가구)과 대구(52만1천594가구)지역 기존 아파트와 비교하면 2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부동산114 김은진 리서치팀장은 “지난해와 올해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과 저금리, 재건축 활성화 등을 틈타 분양시장이 호조를 보이면서 공급물량도 유례없이 증가했다”며 “내년 이후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주택시장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건설사들이 연내 밀어내기식 분양물량을 더 늘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주택시장에 분양물량이 쏟아지면서 내년 이후 공급과잉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00~2014년 연평균 새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27만 가구로, 연간 40만∼50만 가구를 넘어선 것은 작년과 올해 뿐이다.

정부가 장기주택종합계획에서 수립한 적정 수요가 연 37만 가구인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2년간 23만 가구 이상 초과 공급되는 것이다.

주택 인허가 물량이 많다는 것도 문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와 단독·연립주택 등을 포함한 전체 주택 인허가 물량은 76만5천328가구로, 1977년 이 조사를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올해 인허가 물량은 작년보다는 감소하지만 예년에 월등히 많은 67만여가구에 달해 2년간 약 145만 가구가 인허가를 받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2015년부터 집중적으로 공급된 물량이 올 하반기부터 입주하면서 내년 이후 역전세난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지난해 급증한 분양과 인허가 물량의 영향으로 내년에는 준공 물량도 올해보다 11% 늘어난 60만6천가구에 달한다”며 “일부 지역은 전셋값 하락에 따른 역전세난이 나타나면서 집주인과 임차인 모두 고통받을 수 있는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