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미래를 결정지을 문재인 정부가 드디어 탄생했다. 어제 오후 8시 선거가 끝나면서 개표에 들어가 10일 오전 중앙선관위 전체회의를 거쳐 당선자가 정식 통보되면서 곧바로 19대 대통령 임기가 시작된다. 5명 후보들의 난립으로 당선자가 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지는 못 했지만 어떻든 축하를 보낸다. 그리고 선거기간 내내 고생했던 다른 4명의 후보들에게도 격려를 전한다. 특히 새로운 정부가 탄생하기는 했지만 집권당의 의석이 과반수를 넘지 못 한 현재의 정국이 현안을 효율적으로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난관에 부딪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래서 인수위 없이 바로 임기를 시작하는 새 정부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더욱이 촛불과 태극기로 양분됐던 진보와 보수를 하나로 통합해야 하는 사명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정치권의 협치 또한 새 정부가 타개해야 할 문제다. 과거 양당체제에서 각자의 진영논리로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 했던 정권을 경험한 국민들은 다당체제의 구도로 걱정이 앞서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서로가 물고 뜯는 구태와 지역구도 및 이념으로는 더이상 국가의 미래를 보장받기 어렵기 때문이기에 더욱 그렇다. 며칠 전 프랑스 대선 당선자 마크롱이 내일부터 당장 우리 모두의 통합을 위해 함께 가겠다고 몇 차례나 역설한 것처럼 우리 역시 통합과 협치가 시대적인 과제임을 새 대통령은 인식해야 한다.
새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은 쪽도 이제 당선자를 중심으로 뭉치지 못 한다면 암울했던 지난 역사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 선거운동과정에서 나타난 분열과 상호 비방을 접어두고 ‘희망 대한민국’이라는 우리의 앞날을 위해 하나가 되는 게 우리의 사명임을 자각해야 한다. 틀림이 아니라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서 나라의 미래와 발전이라는 큰 틀 속에서 서로 공통점을 찾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다. 생각의 차이는 있지만 서로 양보하면서 타협하는 것이 정치의 미덕이자 힘이기에 그렇다.
따라서 새로운 대통령은 국민통합이 절대적 과제임을 명심하고 이를 과감하게 실천해야 한다. 모든 국민들이 수긍할 수 있는 탕평인사로 첫 걸음을 떼야 하며 나아가 협치와 연정을 추구해나가야 한다. 정권을 손에 쥐었다고 해서 ‘전가의 보도’를 휘두르듯 한다면 그건 또다시 암울함 그 자체다. 과연 국민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 첫 출발점이 국민의 대통합이라는 사실을 임기 내내 명심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