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됐다. 박근혜 정권의 무능과 최순실 일파의 농단으로 인해 헝클어진 국정을 바로 잡기 위해 문 대통령이 해결해야할 과제는 산적해있다. 경제나 일자리, 안보, 외교 등 여러 가지 시급한 일들이 있지만 새 대통령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국민통합이다. 이는 대통령만의 책무가 아니다. 선거 기간 동안 지지후보별로 갈라졌던 국민들도 우리와 우리의 후손이 살아갈 대한민국의 지금과 앞날을 위해 통합해야 한다. 새 대통령에게 힘을 모아줘야 한다.
특히 이번 선거를 통해 드러난 세대 간의 갈등은 섬뜩할 정도다. 전통적으로 경로효친을 미덕으로 여겨온 우리 사회가 어쩌다가 이 지경까지 이르게 됐는지 가슴이 아프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후보시절 “정의의 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는 세력이 정부 운영에 함께 참여해 책임지는 통합정부”를 구성하겠다면서 “지역·노사·세대·계층 간 갈등 해소를 통한 국가통합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루 빨리 갈등으로 인한 상처가 치유되길 바란다.
아울러 대통령은 대선에 맞춰 내놓은 공약들도 잘 챙겨서 이행해야 한다. 특히 각 지방정부들이 애타게 원하는 지방 분권 공약은 반드시 이행하기 바란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 지방분권은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단을 막는 길로서 중앙권한 지방 이양 및 자치역량 강화, 국세의 지방세 이양 및 지방교부세 제도 개선, 광역 자치경찰제 전국 확대 등을 약속한바 있다. 아울러 시·도지사가 참여하는 제2국무회의를 신설하고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개칭하는 등의 내용을 헌법에 명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방 분권 운동을 가장 열심히 앞장서고 있는 염태영 수원시장은 본보 3월 13일자 인터뷰에서 “촛불광장처럼 다양해진 주민의 요구를 수용하고 지역특성에 맞는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지방분권형 국가로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분권과 자치는 더 큰 대한민국 실현을 위한 우리 모두의 소명이자 새로운 시대정신”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아울러 개헌과 관련, 지방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지방분권이 최우선 논의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지방자치가 부활된 지 25년이 지났다. 따라서 이젠 지방정부도 자생력을 갖췄다. 재정, 조직, 인사 등 모든 권한이 중앙에 집중된 현실에서 지방자치는 허울이다.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이에 대한 해법은 지방분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