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가 26일 정세균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정례회동에서 정면으로 충돌, 회동 1시간여 만에 아무 합의도 이루지 못한 채 종료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2월 임시국회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며 야당의 협조를 당부했지만,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는 여당이 일방적으로 국회를 운영하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정 의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2월 임시국회가 28일로 끝나는데, 아직 손에 쥐는 것이 없어서 참 걱정”이라며 “일용할 양식을 마련할 수 있도록 여야 원내대표가 특별히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민주당 우 원내대표 역시 “2월 국회에서 공직선거법을 꼭 통과시켜야 하고, 상가 임대차 보호법 등 민생법안도 산적해 있다”며 야당의 협조를 당부했다.
그는 또 “정부 출범 10개월이 다 돼가는데 정부조직법을 완성하지 못한 것은 국민이 보기에도 죄송한 일”이라며 “개헌과 관련한 교섭단체 간 협의 문제도 빨리 정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이에 강력히 반발하면서 회동장 분위기는 급격히 경색됐다.
김 원내대표는 “김영철을 ‘개구멍’이 아닌 군사작전도로까지 열어주며 빼돌려서 초호화 호텔에 국빈급으로 모시는 작태에 서글픔을 느낀다”며 “이 문제에 대해 긴급현안질의를 하기 위해 청와대 임종석 비서실장의 국회 출석을 요구했지만, 여당은 수용할 수 없다고 하고 있다. 이 국회가 제대로 된 국회냐, 문재인 대통령을 위한 국회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회동에 참석한 바른미래당 김동철 원내대표는 “국회가 무력화되는 단초를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이 제공했다. 무조건 반대하든 말든 갈 길을 가겠다고 하면서 무슨 대승적 협조를 얘기하나”라며 “김영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면 먼저 이해를 구해야지, 우리가 결정했으니 국민과 야당은 따르라는 것인가. 천안함 유족의 함성이 들리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자유한국당의 행태에도 동의할 수 없다. 강대강으로 가는 것은 옳지 않다”며 ‘양비론’을 폈다.
이후 여야 원내대표는 1시간가량 비공개로 논의했지만 회동장 밖으로 고성이 흘러나오는 등 현안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으며 결국 합의 없이 회동을 종료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