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 공직사회에서 지난 6·13 지방선거 전 시장대행(부시장) 체제 당시 상반기 근무성적평정(이하 근평)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일자 공무원 노조가 두 차례나 성명을 통해 항의하는 일이 벌어졌다.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곽상욱 시장 취임 이후 근평 논란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일선 공직자들의 불만 여론은 더욱 커지고 있다.
26일 오산시와 공무원노조 등에 따르면, 6·13 선거일 전날 시공무원들이 사용하는 내부망인 ‘새올’에 상반기 근평의 불공정성을 제기하는 제보가 잇달았다.
이에 공무원노조는 제보가 게시됐던 당일과 15일 1, 2차 성명서를 내고 “올해 근평결과가 특정 부서장 라인 위주로 대폭 수직상승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대표적 사례로 “2017년 12월말과 비교해 2018년 4월말 기준 근평 결과가 2~3계단이 아닌 6계단 이상, 어떤 경우는 심지어 20계단이나 상승한 경우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노조 성명 발표에) 자료를 통해 정확한 소명을 했다. 노조도 합리적 의심(에 대한 소명)이 충분했다는 사실을 인사팀에 전달했다”며 “오해를 산 부분이 있어 사실관계를 투명하게 설명했기에 문제 될 사항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노조도 “관련자료 검토를 거치지 않고 성명서를 발표한 것은 다소 성급했다”며 “인사팀에 1차 사실관계 확인 후 성명서가 나갔어야 했는데, 자칫 침소봉대 돼 직원들의 인사 불신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음을 인정한다”고 한발 후퇴했다.
하지만, 공직 내부에서는 여전히 의혹의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다.
공무원 A씨는 “상대적으로 일반 행정직 비중이 높은 자치행정국에서 많은 승진 자가 배출되는 반면, 다른 국의 경우 승진을 위해 주무과로 몰리는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다”면서 “인사 부서, 주무과와 주무계의 근평 우선주의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무원 B씨는 “이번 사태는 그동안의 관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시의 경우 근평에 있어서는 특정부서 우대나 임의적인 조정이 일부 있었고 특히, 상위 등급인 ‘수’에 포함되는 대상자 인원이 본청의 특정 국(局) 단위 부서에 편중된 것이 문제”라고 일침을 놨다./오산=지명신기자 m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