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에서 벌어지는 각종 폭행, 폭언, 의료행위 방해 등에 대한 처벌 강화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끊이지 않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응급환자들의 정당한 요구에도 일부 의료진들이 무성의로 일관하는가 하면 정당한 요구에도 경비원들을 불러 위압감을 조성하는 등 갈등을 유발하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6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누구든지 응급환자에 대한 구조·이송·응급처치 또는 진료를 폭행, 협박, 위계, 위력 등으로 방해하거나 의료기관 등의 응급의료를 위한 의료용 시설·기재·의약품 등을 파괴하거나 손상하면 안되며, 응급의료 방해 행위자에 대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등 강력한 처벌이 뒤따른다.
그러나 도내 일부 응급실에서 환자들의 정당한 요구에도 의료진들이 무성의로 대응한다는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작은 항의에도 경비원을 대동해 위압감을 조성하는 일까지 비일비재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불만도 끊이지 않고 있다.
또 일부 대형병원의 경우 응급실 환자 내원수가 200%를 넘어 환자들의 양해를 위해 ‘혼란’이라며 공개적으로 표기해 놓으면서도 정작 커피 구매 등을 위해 수시로 자리를 비우는 상황도 목격되면서 비판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응급실에 접수된 일부 응급환자들이 수시간 동안 제대로 된 조치조차 받지 못한채 방치돼 기다리다가 다른 병원을 다시 찾는 일까지 발생하면서 응급실 운영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A씨는 “지난 18일 응급진료를 위해 수원의 유명 대학병원 응급실에 방문했지만 네시간 넘게 제대로 된 조치를 받지 못해 결국 서울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로 급하게 옮겨 진료를 받았다”며 “아무 조치없이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것이면 사전에 애기를 하는 것이 맞지 않냐고 문의했다가 간호사가 경비원을 대동해 위압감을 조성하는 것도 모자라 다른 병원으로 가라는 말까지 들었다”고 어이없어 했다.
이어 “정식으로 민원을 제기할 것이라고 항의하자 명찰을 들이밀며 ‘찍어서 제출하라’고 비아냥대기까지 하는데 환자들을 돈벌이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시민 B씨는 “도내 대형병원은 절대 이용하지 않는다”며 “불친절을 넘어 인성에 문제가 있는 지 의심되는 경우를 응급실에 목격해 소름이 돋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수원시 보건소 관계자는 “실제 이같은 민원이 끊이지 않아 근본적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병원도 이익을 창출하는 기관으로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