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가 지난 5일 ‘반쪽개원’을 한 가운데 여야가 상임위원장 배분 등 원구성을 놓고 난항을 겪고 있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태년 민주당,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박병석 국회의장 주재로 국회의장실에서 만나 막판 원구성 협상을 벌였다.
여야는 이 자리에서도 법사위원장 자리를 둘러싸고 팽팽히 맞섰다.
박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비상한 시기에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며 “내일(8일)은 국회법에 따라 원 구성 협상을 마무리해야 하는 날이다. 내일 정오까지 상임위원장 선임 요청안을 제출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서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는 법사위원장 자리는 양보할 수 없으며 법대로 원구성이 8일 끝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민주당은 4·15총선에서 177석을 얻은 만큼 민심과 의석수에 따라 걸맞은 책임을 다하기 위해 법사위·예결위 위원장 자리를 모두 민주당이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정부와 여당을 견제하기 위해 법사위원장 자리는 통합당이 가져와야 한다며 맞섰다.
여야가 원구성 협상을 원만하게 마무리하지 못할 경우 21대 국회는 시작부터 삐걱거릴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은 단독으로라도 상임위원장 선출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이어서 8일 본회의를 열어 민주당이 그간 엄포대로 18개 상임위원장직 전석 혹은 법사위원장을 단독 선출할 경우 여야의 전면전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 일각의 분위기를 감안하면 ‘민주당의 18석 차지’가 현실화할 경우 통합당이 다시 장외투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법사위까지 민주당이 확보할 경우 ‘정권견제’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민주당이 표결을 요청할 경우 박병석 국회의장이 이를 수용할지 여부가 관전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박병석 국회의장이 무조건 표결을 강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협상 시일을 연장하고 여야에게 시간을 더 주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영선기자 y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