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15일 시청과 4개 구청에 QR코드를 기반으로 한 전자출입명부(Ki-Pass)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날부터 시청과 각 구청을 이용할 경우 스마트폰으로 개인 신상 정보가 담긴 일회용 QR코드를 발급받아 시설 관리자에게 제시해야 한다.
개인 QR코드는 스마트폰으로 검색 앱에 로그인한 뒤 발급받을 수 있다.
시설 관리자는 이 QR코드를 스캔해야 하고, QR코드 사용을 거부하거나 스마트폰이 없는 방문자에 대해서는 손 글씨로 방문 명부를 작성하는 등 이용자 방문기록을 생성해야 한다.
한편, 지난 10일부터 전국 고위험시설(의무 대상)에서 전자출입명부가 시행되면서 지역 고위험시설도 반드시 개인 QR코드를 스캔하고 출입해야 한다.
해당 고위험시설은 헌팅포차, 감성주점, 유흥주점, 단란주점, 콜라텍, 노래연습장, 실내집단운동시설, 실내스탠딩공연장, 학원, PC방 등 10개 업종으로, 수원지역에는 8개 업종 5천294곳이다.
수집한 QR코드는 QR코드 발급회사, 방문기록은 사회보장정보원에서 분산 관리한 뒤 4주 후 자동으로 삭제된다.
정부는 고위험시설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객 정보를 분석, 신속하게 역학조사를 할 예정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시청과 구청은 전자출입명부 의무 도입 시설은 아니지만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장소로서 감염 확산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우선 도입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