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공사의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관련 공정성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이를 둘러싼 여야간 입장도 엇갈리고 있다.
민주당은 25일 인천공항공사 보안 검색 직원 직접 고용 결정을 두고 논란이 확산되자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면서 파장을 예의주시했다.
민주당은 대통령의 공약 이행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옹호하면서도 당에 불똥이 튈까 거리 두기에 나선 모양새다.
윤관석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이날 비공개 정책조정회의에서 ‘청년의 분노에 대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알려지자 해명에 나서기도 했다.
윤 수석부의장 측은 입장을 내고 “사실과 달리 알려진 내용이 많아 팩트체크가 필요하다”며 “공항 공사 등 관계 기관에서 사실관계를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또 “이번 정규직화는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이 취임 뒤 처음 방문한 기관에서 약속한 사안이며,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의 큰 가이드라인에 따른 조처”라며 “큰 방향에 대해 정부가 이야기할 필요는 있지만, 당에서 입장을 표명할 때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김기식 전 의원은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서 “청와대나 공항공사 해명은 합리적이긴 하나 청년들의 정서에 대한 세심한 배려나 고려가 부족했던 측면도 있다”고 지적하며 “기득권과 청년들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정책적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조국 사태’ 등으로 날카로워진 2030세대의 공정성을 자극하는 문제인 만큼 ‘불공정’ 문제로 적극 대여공세에 나섰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관련) 절차상 여러 문제가 있기 때문에 취직하려고 공부를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허탈감을 느끼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통합당 배준영 대변인은 이날 비대위 회의 비공개때도 이 부분이 거론됐다고 전했다. 배 대변인은 “단순히 비정규직이 정규직 됐다는게 잘못됐다는 취지가 아니라 과정이 불공정했다는데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은혜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정규직 전환은 안정적인 고용과 삶의 질을 높이는 측면에서 필요하다”며 “노력하는 이들의 자리를 뺏는 결과의 평등이어선 안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