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당이 단독으로 원구성을 마무리하며 7월 임시국회를 가동했지만 여야가 의사 일정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국회가 겉돌고 있다.
첫 본회의 날짜 등 의사 일정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등이 겹치면서 7월 국회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21대 국회 활동은 시작했지만 아직 본회의 등 의사 일정 합의는 이루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이날까지도 의사 일정 합의를 위한 회동 날짜도 잡지 못한 상태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비공식적으로는 여야 수석 부대표가 주말을 포함해 수시로 접촉한다고 알고 있지만, 성과는 없다”며 “박 시장의 영결식이 열리는 13일까지 큰 변화가 없을 전망이며 빨라야 14일부터 제대로 협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21대 국회 개원식 일정조차 잡지 못하는 상황이라 민주당은 난감한 모습이다.
민주당은 오는 15일 개원식을 열어 국회의장의 개원사와 의원들의 선서, 대통령 연설을 진행하자는 입장이지만, 통합당은 민주당의 단독 원 구성에 불만을 나타내며 개원식 없이 교섭단체 대표연설 등 국회 일정을 바로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당이 합의를 이뤄 15일에 개원식을 연다고 해도 21대 국회는 1987년 개헌 이후 개원식을 가장 늦게 연 국회라는 기록을 세우게 됐다.
지금까지는 2008년 7월 11일 18대 국회 개원식이 가장 늦은 기록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7월 임시국회가 당면한 현안은 산적해 있다.
공수처 출범을 위한 후보추천이 최대 뇌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오는 15일 공수처 법정 출범 시한이 코앞에 다가왔지만 국회는 아직 공수처장 후보추천위원회조차 구성하지 못했다.
인사청문회 정국에서도 여야 격돌의 장이 재현될 전망이다. 여야는 오는 20일 김창룡 경찰청장 후보자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하기로 했지만, 이인영 통일부·박지원 국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일정은 아직 잡지 못했다.
특히 국회 정보위원장이 공석이라 박 후보자 청문회 여부가 불투명하다. 통합당이 국회부의장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겠다고 밝혀 국회의장·국회부의장, 여야 교섭단체가 협의해 결정하는 국회 정보위원장 선출이 차질을 빚고 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