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27일 행정수도 완성 추진단 첫 회의를 갖고 2022년 대통령 선거 전까지 여야가 합의할 수 있는 행정수도 이전 로드맵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추진단 1차 회의에서 "행정수도 완성은 더 늦출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민주당은 2020년을 행정수도 완성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대선 전에 여야가 합의할 수 있는 안을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 추진단에서 실질적인 추진 로드맵 만들어달라"며 "최종 목표는 대한민국 전 국토의 균형발전이다. 국회, 청와대와 같이 서울에 남아있는 정부 부처를 세종시로 이전하는 효율적이고 합리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행정기능 이전 뒤에 경제수도 서울 디자인도 공론화해야 한다. 글로벌 선도국가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1극 체제가 아니라 지역 다극 체제로 전환해야한다"며 부산·울산·경남 중심의 동남권 메가시티, 대구·경북의 행정 통합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김 원내대표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 사업 추진 과정이 전국에 고르게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계되는 게 중요하다"며 "스마트 그린 산단, 그린 스마트 스쿨 등의 추진과정에서 지역밀착형 일자리 창출이 되도록 지자체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진단장을 맡은 우원식 의원은 "행정수도 세종과 경제수도 서울을 미국의 워싱턴과 뉴욕으로 거듭나도록 해야 한다"며 "이 분명한 목표를 위해 서울 지역구 국회의원인 제가 추진단장을 맡은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 "국토균형발전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꿈이지만, 노무현 대통령만 꿈꾼 것은 아니다"라며 "1977년 서울시 연두순시에서 행정수도 이전을 천명하고 같은 해 7월 임시행정수도건설 특별조치법을 통과시킨 박정희 전 대통령의 꿈이기도 하다. 정부와 지자체가 협조해 모두 주체가 되도록 만들겠다. 대선까지 기다리지 않고 빠른 속도로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추진단은 박범계 의원이 부단장을, 이해식 의원이 간사를 맡고, ▲법률 ▲연구기획 ▲지역 혁신 ▲국민소통 등 총 4과 분과로 구성됐다.
추진단은 행정수도 이전 완성을 위한 방안 중 개헌과 국민투표, 여야 합의를 통한 특별법 발의 3가지 방안을 두고 올해 말까지 지역별 순회 토론회와 국정과제 간담회 등을 거쳐 결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회의가 끝난 뒤 이해식 간사가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오는 29일 국정과제협의회 위원들과 간담회를 갖고며, 내달 3일 세종시 현장을 방문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