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부 장관 취임이후 정부가 첫 대북 인도지원을 결정했다.
정부는 6일 제316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교추협)를 열고 남북협력기금으로 국제기구인 세계식량계획(WFP)의 북한 영유아·여성 지원사업에 1천만 달러(약 119억원)를 지원하는 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지원은 WFP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당초 지난 6월 의결이 추진됐다가 북한의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등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되자 보류됐었다.
통일부는 "북한 영유아·여성의 인도적 상황 개선에 기여한다는 판단으로 지원키로 했다"며 "앞으로 인도적 협력은 정치·군사적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 지원은 WFP가 북한 내 7세 미만 영유아와 여성의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북한과 합의해 추진하는 사업에 정부가 일정 부분 공여하는 형태다.
구체적으로는 북한 9개도 60개군 내 보육원·유치원 등의 영유아와 임산·수유부를 대상으로 영양강화식품 약 9000t을 지원하는 '영양지원사업'과 취로사업에 참가한 북한주민 2만6500명에게 옥수수·콩·식용유 3600t을 제공하는 '식량자원' 사업 등이다.
정부가 WFP를 통해 북한 영유아·여성 지원에 나선 것은 이번이 4번째로, 2014년(700만 달러)과 2015년(210만 달러), 2019년(450만 달러)에 진행됐었다.
이날 교추협에서는 DMZ(비무장지대) 평화통일문화공간 조성사업 지원 안건도 의결됐다. DMZ 평화통일문화공간 조성사업은 남북출입사무소와 철거 감시초소(GP) 등을 활용해 남북이 함께하는 문화교류 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통일부는 "DMZ 일대의 평화적 이용을 통해 남북간 민족동질성을 회복하고 접경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