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19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무릎 꿇고 사죄했다.
보수성향 제1야당 대표가 5·18 묘역에서 무릎을 꿇은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당내 인사들의 ‘5·18 망언’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당 관계자들과 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울먹이며 “알고도 침묵하거나 눈감은 행위는 역사의 법정에선 유죄”라며 “광주에서 비극적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그것을 부정하고 5월 정신을 훼손하는 일부 사람들의 어긋난 발언과 행동에 당이 엄중한 회초리를 들지 못했다”고 사죄했다.
또 자신이 과거 신군부가 설치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에 재무분과 위원으로 참여했던 것에 대해서도 “그동안 여러 번 용서를 구했지만, 결과적으로 상심에 빠진 광주시민과 군사정권에 반대한 국민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다”면서 “다시 한번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적 화해는 가해자의 통렬한 반성과 고백을 통해 완성될 수 있지만, 권력자의 진심 어린 성찰을 마냥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가 대표해서 이렇게 무릎을 꿇는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 화해와 통합도 강조했다. 그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치며 적지 않은 희생과 고통이 따른 것도 사실"이라며 "하지만, 그게 아직 상처로 남아 아직도 낡은 이념대립을 계속하며 사회통합과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역사의 화해는 가해자의 통렬한 반성과 고백을 통해 가장 이상적으로 완성되지만, 권력자의 진심 어린 성찰을 마냥 기대할 수 없는 형편에서 그 시대를 대표해 제가 이렇게 무릎을 꿇는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민주의 문 앞에서 사과 발언을 하던 도중 감정이 북받치는 듯 울먹였고, 원고를 든 손이 떨리는 모습도 보였다.
김 위원장은 이후 추모탑에 헌화하고 15초가량 무릎 꿇고 묵념했으며 윤상원·박기순 열사 묘역과 행방불명자 묘역에 헌화했다.
김 위원장의 사과에 묘역에 참석한 시민들은 박수를 보냈다. 일부 시민들의 항의는 있었으나 지난해 5월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광주를 찾을 당시 ‘물세례’와 같은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충혼탑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가 일어서는 순간 잠시 휘청하자 주위에서 부축해주기도 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