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고시 응시를 거부한 의대생들을 특별 재접수 등으로 추후 구제를 하지 말아달라는 취지의 청와대 국민청원이 10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았다.
2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따르면 지난 21일 올라온 ‘국시 접수 취소한 의대생들에 대한 재접수 등 추후 구제를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은 3일여 만인 이날 오전 9시48분 기준 총 10만7167명의 동의를 받았다.
작성자는 청원 글에서 "이번에 의대생들이 단체로 시험을 취소한 것은 결국 나라에서 어떤 식으로든 구제를 해줄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행동"이라며 “실제 국시를 취소했다는 의대생이 혹시 몰라 국시 공부 중이라는 말을 공공연히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험을 거부하는 것 자체가 투쟁의 수단이 될 수 있는 집단은 없다"며 "포기한 응시의 기회가 어떤 형태로든 추가 제공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는 사람들은 없고, 그 자체로 이들은 특권을 누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의대생들이 학부 정원부터 소수로 관리되면서 예비 단계부터 의료면허 획득을 확신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그들의 생각대로 추후 구제로 의사면허를 받게 된다면 그들은 국가 방역 절체절명의 순간에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총파업을 기획하고 있는 현 전공의들보다 더한 집단이기주의적 행태를 보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작성자는 마지막으로 “그들에게 구제 방법을 제시하지 말아달라”며 “대신 그들에게 스스로의 지나침을 경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라”고 호소했다.
지난 18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다음달(9월) 1일로 예정된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 거부와 집단 휴학을 의결했고, 전국 40개 의과대학 본과 4학년 응시자 대표자들은 이미 접수 취소를 신청한 상태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