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코로나19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신속 처리에 합의했다.
또 국회의장 주재 교섭단체 정당대표 정례회의를 월 1회 개최와 양당 정책위의장이 지난 4·15 총선 공약 및 정강정책 중 공통사안을 협의해 공동 입법하자는 데도 합의를 이뤘다.
이 대표와 김 위원장은 10일 국회 사랑재에서 진행된 박병석 국회의장 주재 여야 교섭단체 대표 오찬 회동에서 이같이 합의했다.
최인호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회동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4차 추경을 최대한 시급히 처리한다. 긴급재난지원금을 추석 전 많은 국민이 지급받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9월24일 본회의에서 코로나19 방역 및 민생지원 관련 법안을 최대한 많이 처리한다(합의했다)"고 밝혔다.
여야는 의장 주재 원내교섭단체 정당대표 정례회의를 월 1회 개최하기로 했다. 또 지난 총선 공약과 정강·정책 중 공통 사안을 양당 정책위의장이 협의해 처리하기로 했다. 공정거래 3법과 경제민주화법의 공동 입법 등도 거론됐으며, 공동 입법이 가능한 사안은 37개 정도로 추려진다.
다만 원구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입장차이만 확인했다.
김 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통해 21대 국회 원구성 협상 때 기존 관행이 지켜지지 않은 데 따른 균열이 봉합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추가 논의 의사를 내비쳤으나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원구성 협상 때의 우여곡절을 반복할 수는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민주당 최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국민의힘 김 대변인은 "이낙연 대표께서는 개원 협상 당시 2~3개월이 걸렸던 우여곡절을 9월 국회에서 되풀이하는 것이 현명한 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재차 확인하며 "(김종인 위원장은) 그 현안이 풀리지 않고 이어진다면 여야의 긴장 관계가 유지될 수밖에 없다는 말로 대답을 갈음했다"고 밝혔다.
한편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출범과 관련해서는 이날 오찬 회동에서 따로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