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의 전력자립도가 247%로 전국에서 가장 높고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타 지역에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 전력 생산과 소비 불균형은 최대 138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성만(더불어민주‧인천부평갑) 국회의원이 한국전력으로부터 받은 2019년 기준 ‘지자체별 전력생산·소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력생산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전력자립도가 대전이 1.78%로 제일 낮고 서울은 3.92%였다.
반면 인천은 247%, 충남은 245%를 기록하면서 지역 내 전력소비량보다 많은 양을 다른 지역에 보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과 인천을 비교하면 지역의 전력생산 대비 소비 비율이 최대 138배 차이 나는 것이다.
인천의 지역 소비량은 2만4291GWh이나 생산량은 6만53GWh를 기록해 절반이 넘는 3만5772GWh의 전력을 타 지역에 공급했다.
대전은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량이 168GWh에 불과하나 소비량은 9416GWh로 다른 지역에서 9248GWh를 받았고, 서울도 발전량은 1847GWh이나 소비량은 4만7167GWh에 달해 극심한 편차를 보였다.
경기도의 전력자립도는 60.1%로 17개 지자체 중 7번째로 낮은 비율을 보였으며 소비량은 전국 최대치(12만3026GWh)로 다른 지역에서 가장 많은 4만9049GWh의 전력을 가져와야 했다.
석탄발전소가 밀집한 충남의 지역 내 전력소비량은 5만2645GWh이나 생산량은 2배가 넘는 12만3905GWh로 다른 지역에 7만1260GWh의 전력을 공급했다. 충남은 국가 전체 발전설비의 20%가 밀집해있고 전체 발전량의 22%를 부담하고 있다.
100% 이상 자급률을 보인 지자체는 인천, 충남, 부산, 경북, 강원, 전남, 경남으로 전력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다른 지역에 보냈다.
이처럼 지역별 전력생산과 소비 격차가 크다 보니 전력생산에 따른 환경오염이나 송전 과정의 부담 차이에 따른 불평등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성만 의원은 “전력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은 결국 환경과 에너지 정의의 문제”라고 지적한 뒤 “단기적으로 전력요금체계에 이런 불균형을 반영하고, 궁극적으로 기존의 중앙집중식 전력공급체계에서 탈피, 신재생에너지 등 지역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분산형 전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