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무인화관측소 15곳 중 80%인 12곳을 비워둔 채, 유지관리비로 5년간 6억원 이상을 소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광주시을)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은 2020년 8월 현재 무인화관측소 15곳을 운영 중이다.
강원지방기상청 산하 5곳, 대구와 부산기상청 산하 각각 3곳, 수도권과 광주, 전주, 대전기상청 산하 각각 1곳 등 총 15개 무인화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중 80%인 12곳은 어떤 용도로도 활용되지 않고 비어 있었다. 나머지 영월, 철원, 원주 관측소는 산림청, 철원소방서, 원주경찰서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이처럼 비어 있는 무인화관측소에 사용된 공공요금과 무인경비 등 유지관리비는 최근 5년간 6억1900만원에 달했다.
미활용 무인화관측소들의 규모는 평균 155평에 달하는 512㎡로, 가장 규모가 큰 거창관측소의 경우 지하1층·지상2층으로 이루어진 759㎡이고, 보령관측소의 경우 723㎡, 군산관측소의 경우 685㎡ 규모에 달했다.
동해관측소의 경우 546㎡규모로 2014년 3억8400만원을 들여 증축 공사를 시행했으나, 4년 후인 2018년에 무인으로 전환된 이후 아무런 활용 목적 없이 비어 있었다.
임 의원은 “증축 등으로 규모만 키워 놓고 아무런 활용 계획 없이 비워 두는 것은 예산 낭비”라며 “기상청은 지역 주민들을 위한 편의시설 등을 포함해 다양한 활용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