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는 2025년 준공을 목표로 개발 중인 인천신항 1-2단계 컨테이너부두의 차질 없는 개장을 위해 ‘인천신항 1-2단계 컨부두 사업시행 및 인천항 컨터미널 운영 개선방안 마련 용역’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이번 용역에는 ▲자동화·스마트화 시스템 도입방안 ▲평면배치 계획 ▲부두개장계획 등 신항 1-2단계 사업계획을 비롯해 ▲신항 개발에 따른 남항 컨부두 중장기 운영방안 ▲신항 1-3단계 최적 공급계획 등 인천항 중장기 컨부두 운영체계 개편방안이 과업으로 포함됐다.
또 공사는 용역을 진행하면서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협의체를 구성, 각계 이해관계자들의 의사를 적극 반영하고 정기 회의를 통해 인천항 중장기 발전계획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6) 상 인천항의 2025년 컨 물동량 목표는 293만TEU였으나, 2017년 305만TEU를 처리해 목표를 이미 조기 달성했다. 이같이 2015년 인천신항 1-1단계 컨테이너부두 개장 이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하역능력 확충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사는 부두운영인력과 일자리 수급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인천신항 1-2단계 컨부두를 길이 총 1050m, 4000TEU급 이상 3개 선석을 갖춘 완전 무인자동화 스마트 항만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 컨소시엄이 맡아 내년 5월 준공될 예정인 이번 용역은 20201년 착공을 목표로 시행 중인 신항 1-2단계 컨테이너부두 하부공 설계와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운영전략의 실행력을 높일 계획이다.
이정행 공사 운영부문 부사장은 “선박 대형화 추세에 맞춰 인천신항 컨테이너부두 1-2단계를 차질 없이 개장함으로써 항만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