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조감도. [ 인천시 제공 ]](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01043/art_16033434993455_edf66d.jpg)
사업비용 분담 금액이 최종 확정되면서 제3연륙교 건설사업의 큰 난제가 해결됐다.
인천시는 제3연륙교 사업에 대한 기관별 사업비 분담을 주 내용으로 한 ‘제3연륙교 건설사업 협약서’를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제3연륙교 총 사업비 6500억 원 가운데 LH와 인천도시공사가 전체의 95.3%인 6195억 원을 부담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는 LH 5212억 원, 인천도시공사 982억 원이며 시는 나머지 305억 원의 경우 인천공항개발, 한상드림아일랜드 개발계획 승인 과정에서 확보한 개발이익금을 활용할 계획이다.
당초 제3연륙교 사업비는 지난 2006년 LH가 토지 조성 원가에 반영한 5000억 원이었지만, 사업 지연으로 인한 물가 상승과 설계 과정 등을 거치면서 6500억 원으로 늘어났다.
이와 관련, 박남춘 시장은 오는 26일 시청에서 이원재 인천경제청장을 비롯해 변창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이승우 인천도시공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연륙교 건설 사업 협약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시는 제3연륙교 사업에 대한 비용 분담이 확정됨에 따라 오는 12월 착공 및 2025년 개통 약속이 지켜져 영종·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의 숙원 해결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3연륙교는 중구 중산동(시점)~서구 청라동(종점)을 연결하는 총 연장 4.7㎞(해상교량 3.5㎞, 육상 1.1㎞), 폭 29m 규모이며 왕복 6차로와 보도, 자전거도로로 건설된다.
인천경제청은 제3연륙교가 건설되면 ▲영종국제도시의 정주여건 개선 및 수도권 서부권역의 균형발전 ▲영종하늘도시·청라국제도시 개발 및 투자유치 활성화 ▲인천국제공항의 정시성 확보 등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남춘 시장은 “이번 협약 체결로 제3연륙교 건설이 사실상 본 궤도에 올랐다”며 “시민들과의 약속인 이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