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국내 증시는 사상 처음으로 KOSPI 3000 시대를 돌파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시중의 자금이 주식으로 몰렸기 때문이라는 평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이후 나온 보수언론 기사의 타이틀은 '영끌', '개미들 빚투', '유동성 위험', '가계대출 사상 최대', '경제위기 뇌관' 등 정부 정책을 깎아 내리기 위한 부정적 문구가 대부분이었다.
정부 정책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판이었다.
그런데 증시가 오른 것이 단순히 부동산 투자에 대한 규제로 인한 자금의 이동으로만 볼 수 있을까.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KBS 일요진단 ‘재난의 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에 출연해 “올해 연초 코스피가 3000을 넘는 등 주가가 상당한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국내 경제 여건에 대한 평가, 기업 실적과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가 종합적으로 반영된 것이라 본다”고 진단했다.
국내 주식시장의 '큰손' 대부분이 외국인임을 감안할 때 기업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결코 증시가 상승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특히 기관과 외인들의 주요 이익 취득 수단인 '공매도'를 정부가 한시적으로 제한한 것도 증시 상승을 이끈 견인차 역할을 했다.
홍 부총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책 당국자가 정책을 잘해서 경제가 회복되고, 실물이 회복돼서 주식시장을 뒷받침해주는 게 아닌가 한다”고 밝혔다.
실제 반도체 '빅사이클'로 접어들면서 삼성전자는 액면분할 이후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고, 전기차에 대한 미래 청사진에 의해 LG화학도 '역대최고가'라는 타이틀을 연일 내고 있다.
현대차 역시 친환경 차인 수소차와 미 '애플'사와의 협력설 등으로 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비단 이뿐일까. 코로나19 상황에서 K-방역은 전 세계적 모범사례로 손꼽혔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장도 우리나라의 방역관리 상황에 대해 "코로나19가 매우 잘 통제되고 있다. 코로나19 모범 대응 국가 중 하나"라고 추켜세웠다. 파우치 소장은 백신·치료제 관련 기술협력 및 공동임상연구 등 연구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10만명당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는 OECD 기준 최저치에 해당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지난해 12월 31일 발표한 OECD 회원국의 코로나19 발생 및 사망 현황을 보면, 같은 달 28일 기준 한국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수는 111.26명이었고,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는 1.58명이었다. OECD 37개국 중 36위로, 뉴질랜드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사망률이다.

이같은 '성공적인 K-방역' 사례에 힘입어, 코로나19 관련 치료제 관련 주들도 국내와 해외의 관심을 얻으면서, 큰 폭 상승하기도 했다.
외환보유고 역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12월 외환보유액이 4431억달러로 한달 전보다 67억2000만달러 증가해 사상 최고액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보수언론의 보도는 단신에 그친 것이 대부분이었다.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디지털 분야 발전도 눈에 띄었다. 지난 6일 OECD가 최근 펴낸 'OECD 디지털경제전망' 보고서는 한국이 초고속 인터넷 광섬유 비중이 81.7%로, OECD 회원국 중 1위로 평가했다. 또 한국의 ICT 관련 특허 비중이 53.9%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OECD는 또 OECD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을 통해(2020년 12월 1일 기준)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1% 임에도 불구, 세계 1위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정부의 효과적 정책들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언론들은 이를 애써 외면하고 있다. SNS 등에서는 "정권을 바꾸자는 저주의 굿판이다", "나라가 망하기를 바라는 매국 언론들" 등 보수 언론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경기신문 = 유진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