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국무총리가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총 7900만명분의 백신 도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기존에 확보한 백신 물량은 5600만명분이다.
정 총리는 "정부는 당초 하반기에 1000만명분을 공급받기로 계약한 화이자 백신 중, 일정 물량을 앞당기는 한편, 상반기에 추가로 도입 가능한 물량을 협의해 왔다"며 "그 결과 하반기 도입예정 물량에서 100만회분, 즉 50만명분을 3월말에 앞당겨 공급받고, 추가로 600만회분, 300만명분의 백신을 2분기에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이렇게 되면 화이자 백신은 2분기에만 총 700만회분, 350만명분의 접종이 가능하게 된다"며 "또 노바백스 백신 2000만명분의 도입을 확정하고, 2분기부터 접종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제 열흘 후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정부는 전 과정에 걸쳐 빈틈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며 "국민들께서는 정부를 믿고, 안내해 드리는 접종계획에 따라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위험요인은 여전히 남아있다. 설 연휴 여파가 먼저 걱정된다. 고향 방문은 줄었지만 주요 관광지에 많은 나들이객이 몰렸다고 한다. 부산, 강원 등지에서는 설날 가족모임이 계기가 된 감염사례가 하나둘씩 확인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변이바이러스도 위협적이다. 국내로 유입된 사례가 계속 늘어 현재까지 94건이 확인됐다"며 "영국발 변이바이러스는 전파력에 더해 치명률마저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가장 큰 위험요인은 경각심의 이완이다"며 "안정이냐, 재확산이냐도 결국 여기에 달려있다. 자율에만 방점을 두지 말고, 책임에도 무게를 두어 행동할 때"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유진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