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대병원 신경과 홍지만 교수팀이 막힌 혈관과 상태가 좋은 혈관을 연결해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내놓았다.
아주대병원은 홍 교수팀이 지난 2010년부터 2016까지 급성기 혈관폐쇄성 뇌졸중을 보인 ‘모야모야병’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이 치료법을 시행한 결과, 모두 혈류상태가 좋아지면서 증상이 호전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모야모야병’은 원인을 알 수 없이 뇌혈관이 점차 좁아지는 희귀 난치성질환으로 완치가 힘들다.
연구팀에 따르면 새로운 치료법은 국소마취 후 두개골(머릿뼈)과 뇌막에 작은 구멍을 내는 ‘두개 천공술’과 혈관증강제 약물투여를 병합한, 일명 ‘최소침습 역방향 혈관재생성법’이다.
홍지만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급성기에 악화되거나 신경학적 변동이 많은 혈관폐쇄성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응급 재개통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빠르고 건강한 혈관재생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대뇌 장벽의 작은 상처와 혈관증강제의 병합치료임을 확인했다”면서, “여러 이유로 급성기에 혈관을 뚫는 치료가 힘든 뇌졸중 환자에서 이 치료법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모야모야병뿐 아니라 혈류가 불안정하고 저하된 급성기 혈관폐쇄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이 치료법을 적용한 연구를 최근에 완료, 그 결과에서도 안정성과 유효성을 확인했다.
특히 기존 혈관생성법은 전신마취하에 혈관문합술을 진행, 허혈성 뇌경색 발생 및 뇌과관류 증후군 등의 부작용이 있었지만, 이번 치료법은 쉽고 간단한 시술과 혈관증강제 투여 만으로 안전하고 지속적인 혈관생성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는 설명이다.
혈관문합술은 혈류가 풍부한 혈관과 직접 연결 혹은 혈류가 풍부한 조직을 부착, 점차 혈류량을 늘리는 시술이고, 뇌과관류 증후군은 좁아진 혈관이 늘어나면서 갑자기 혈류가 증가해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또 동물실험을 통해 이 치료법이 ‘작은 상처의 회복과정’ 기전에 의한 것임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기초실험을 진행한 박근화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실제 임상에서 경험한 역방향 혈관재생 개념을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에서 그 기전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며, “또 다른 새로운 치료법의 기반(근거)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강경묵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