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은 정형화된 원형이 없는 운동이었다. 운동은 대중들이 만들어 갔고, 운동이 진전되면서 끊임없이 다양한 변주가 이루어졌다. 시위운동은 양상과 질적인 면에서 3단계의 변화상을 보여준다. 첫 단계는 대체로 민족대표의 평화시위의 규범에 따른 시위가 많았다. 2단계는 향촌유지층 주도의 공세적 시위운동이었다. 3단계는 향촌공동체의 상하남녀노소가 전면적 투쟁을 전개하는 독립만세운동이었다.
경기도 지역은 서울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지리적 특성과 한말 애국계몽운동과 의병운동의 맥을 이어 전국에서도 가장 치열하게 시위운동을 전개했다. 지방시위의 경우 3월 10일에서 15일 사이에 지방의 보통학교 학생들의 시위가 선도적이었으나 파급력은 크지 않았으며, 단발성으로 끝난 경우가 많았다. 남양주 화도읍 마석우리 거사는 시위운동의 규모와 양상면에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일제와의 전면적인 투쟁의 양상을 띠었으며, 무단 발포하는 일제 관헌 격살, 일제 주재소 등 관공서, 면사무소 파괴와 방화 등의 격렬한 양상을 띠었다.
남양주 화도지역 3·1독립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6일 교회지도자 이인하, 이택하, 김우동, 김필규, 마을 유지인 이달용, 이승보, 이재하, 이덕재, 이택주, 유인명, 홍순철, 윤태익 등이 의거를 계획하고 준비하다 3월 18일 왜적에 발각되어 이재하, 이승보, 이택하가 일경에 검거되었다. 이날 밤 주민 200여명이 마석우리 병참 앞에 몰려가 검거 인사의 석방을 요구하며 독립만세를 힘차게 외치다 일경의 발포로 이달용, 손복산, 신영희, 유상규, 이교식 다섯 분이 거사 현장에서 순국하였고 이재혁, 윤표, 강덕배, 윤정석, 원대현 등 많은 지역의 인사들이 중상을 당하였다. 김필규는 일제의 악독한 고문으로 옥중 순국하셨다.
3월 28일 양주군 광적면 가납리 논배미에 950여 군중이 집결, 독립만세를 외치며 일본 헌병과 면장에게 돌팔매질을 시작하자 일본 헌병은 발포하여 백남식, 김진성, 이용화 세분이 순국하시고 수많은 희생을 낳았다.
고양 벽제면, 은평면, 신도면, 지도면, 숭인면, 송포면, 한지면 지역에서 3월 9일부터 3월 말까지 독립만세 운동이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지금은 대부분 서울에 편입되었다.
3월 26일 파주 교하리와 봉일천 장날인 3월 27일에 면사무소 습격, 파괴, 일본 헌병 주재소 포위 시위를 전개하다 일경의 무자비한 발포로 김남산, 박원선, 정천화, 최홍주 네 분이 순국하셨다.
장단군은 대부분 파주시와 연천군으로 편입되고 일부는 수복하지 못한 지역이다. 4월까지 이어지는 3·1 만세운동은 선열의 확고한 독립의지를 볼 수 있다.
양평군은 3월 4일, 4월 11일 지제면, 3월 31일 강상면, 4월 3일 고읍면, 4월 7일 양동면 등에서 만세시위를 이어갔다. 지제면 곡수장날 시위를 주도한 김영규 지사에서 피체되어 총살에 의해 순국하셨고, 김상경, 최윤식 지사께서도 순국하시는 희생을 치렀다.
포천군은 최익현 선생의 고향이기도 하다. 포천 신북면 만세시위와 소흘주재소 습격으로 독립의지를 표출하다 최석휴, 이영여 두 분이 일경의 총탄에 순국하셨다.
연천군에서는 백학면 두일리 장날 200여명의 군중을 규합하여 면사무소 파괴 등 시위를 전개하였고 미산면 마전리까지 행진하며 만세시위를 계속하였다.
경기북부지역 11개 시군에는3·1 독립운동기념비를 곳곳에 세워 103년전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을 추모하고 기억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3·1절 기념식과 독립만세 재현행사는 축소되거나 취소되고 있어 너무 아쉽다. 103주년 3·1절에 여러분께서 사시는, 야외에 있는 3·1독립운동기념비를 찾아가 가족, 특히 미래세대인 자녀들과 함께 선열들의 독립의지를 되새겨, 우리가 겪고 있는 이 위기를 극복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