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매립지 종료' 인천시, 음식물쓰레기 감축 필요...일부 지역 발생량 전국 평균 1.5배 달해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외치고 있지만 일부 지역의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천 중구는 1인당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평균치(100㎏/연)의 1.5배에 달했다.

 

13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인천의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25만 2275톤으로, 하루 평균 배울량은 691톤에 달한다.

 

매립지 종료를 선언한 시는 권역별 소각장(자원순환센터) 조성과 함께 음실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을 짓겠다는 계획이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발 등 이유로 답보 상태다.

 

인천 내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은 연수구(송도), 남동구, 서구(청라) 등 3곳뿐이다. 

 

하루 평균 450톤을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조성된지 20년이 지나 처리 효율은 80~90% 수준에 불과하다.

 

매립지 종료에 따라 시는 하루 평균 700톤을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하수슬러지 시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것으로 하루 691톤에 달하는 음식물쓰레기를 함께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음식물쓰레기 감축이 필요한 이유다.

 

하지만 인천지역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의 편차는 크기만 하다. 

 

인천의 1인당 평균 연간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은 84㎏으로 10개 군‧구 중 중구(158㎏)가 가장 많다. 이어 옹진군(109㎏), 동구(104㎏), 남동구(98㎏), 계양구(92㎏), 미추홀구(82㎏), 부평구(76㎏), 연수구(68㎏), 강화군(66㎏), 서구(65㎏) 등 순이다.

 

시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해 올해 1월 기준 7553대의 ‘공동주택 RFID(무선인식) 종량기기’를 보급했다. 인천의 공동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 중 절반에 달하는 46만 1121세대가 혜택을 보고 있다.

 

하지만 RFID 종량기는 대단위 아파트 단지 위주로 들어선다. 아파트가 별로 없고 원도심이 밀집된 지역은 음식물쓰레기가 많이 나올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시는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구매금액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6억 원에서 올해 10억 원으로 예산을 올렸으며, 2025년까지 총 1만 8000대의 감량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다만 정작 음식물쓰레기가 많이 나오는 원도심 지역에 혜택이 돌아가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군·구별 수요에 따라 감량기 보급 예산을 지원하는데, 신청자와 지역 등에 제한이 없다. 대부분 아파트 등에 사는 젊은 층 위주로 감량기 보급이 이뤄져 RFID 종량기가 있는 곳도 중복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대비해 음식물쓰레기 감량 지원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홍보를 병행해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원도심에도 감량기가 많이 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조경욱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