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7일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를 앞둔 주호영 원내대표가 4일 김진표 국회의장·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마지막 삼자 회동을 가졌다.
김 의장의 주재로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회동 이후 두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4월 임시국회 내 우선 심사·처리하기로 합의한 법안을 발표했다.
김 의장은 이날 회동에서 “여야가 극한 대립을 할 수밖에 없는 어려운 여건이었는데, 의회주의자인 두 분이 원내대표를 맡아 주셔서 최소한의 대화와 타협을 할 수 있었다”며 감사의 뜻을 내비쳤다.
두 원내대표에 대해선 “주 원내대표는 아주 따뜻한 보자기처럼 잘 감싸는 포용을 보여주셨고, 박 원내대표는 본질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꼭 필요할 때 양보할 줄 아셨다”고 말했다.
이어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끌어내려면 선거제 개편으로 협치를 제도화해야 하는데, 그를 위해 만들어진 전원위원회가 19년 만에 일어났다. 두 분이 아니었다면 안 됐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의장은 여야가 내용에는 합의하면서도 성안이 되지 못해 처리가 지연된 법안들을 언급하며 “오늘 논의를 통해 4월 중 처리할 수 있도록 발표하면 국민에게도 좋은 선물이 되고 주 원내대표도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박 원내대표는 “주 원내대표와 함께 국정 운영과 주요 현안에 의견을 나누고, 접점을 찾고, 타협하는 과정에 좋은 파트너를 모시게 됐다는 점에서 귀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동안 민주당이 요구한 양특검법과 정리되지 않은 간호법·의료법 문제와 양곡관리법 등은 여야 합의 처리했으면 좋았을 것이란 아쉬움이 남는다”고 밝혔다.
주 원내대표는 “원래 정권 바뀐 첫해에는 여야 입장이 바뀌니 양당이 참으로 어려운 시기인데 그럼에도 의장이 잘 이끌어주시고 박 원내대표가 많이 협조해주셔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국회 안건조정회의가 취지대로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라며 “앞으로도 민주당이 안건조정회의가 원래 취지에 맞도록 운영해 주십사 하는 부탁을 드린다”고 주문했다.
이후 20여 분간의 비공개 회동을 마친 두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4월 우선 심사·처리하기로 한 법안 7개가 담긴 합의문을 공개했다.
합의문에는 ▲서로 다른 정당에 속한 대표발의 의원 3인까지 기재 허용 ▲본회의 실시 무기명 투표 방식 수기에서 전자장치로 변경 ▲업무방해죄 구성요건 개선·법정형 하향 ▲동물은 물건이 아니라는 점 규정 ▲대출금 연체금액에 대해서만 연체이자 적용 ▲종합·요양 병원 등에 임종실 의무설치 ▲대통령 취임시점을 취임 선서 시로 개정 등이 담겼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