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탄소 저장소 확보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산업계에서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국내 탄소 포집·저장·활용·저장(CCUS)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세계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주요 핵심기술로 CCUS에 주목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CCUS는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기술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지구 평균 온도를 1.5도 상승하는데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는 2100년까지 최대 1조 2180억 톤의 탄소를 CCUS로 처리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세계 주요국들은 CCUS 기술 투자 기업에 세액 공제를 지원하는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올해 3월 공개된 탄소중립산업법(NZIA, Net-Zero Industry Act)에서 CCS를 '전략적 넷제로 기술', CCUS는 '넷제로 기술'로 지정했다. 관련 산업을 EU 역내에 유치하기 위해 인허가 단축 등을 지원하고, 기술·제품의 연 수요의 40%를 역내에서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미국의 경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CCUS 설비 설치 등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세액 공제 등 지원을 강화했다. CCS의 경우 탄소 1톤당 85달러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캐나다도 CCS 투자비의 50%, 대기 중에서 직접 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인 DAC(Direct Air Capture) 투자비의 60%에 대해 세금을 공제해준다.
국내 기업들도 CCUS 사업의 필요성과 성장성에 주목하고 선제적으로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해 SK에너지와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GS에너지,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등은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를 포집해 말레이시아로 이송·저장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SK E&S도 호주·동티모르 등에 연 300만 톤 규모의 온실가스를 저장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북미 CCS 프로젝트에도 1억 1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포스코와 삼성엔지니어링 등도 말레이시아에 탄소를 저장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CCS는 산업통상자원부가, CCUS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담당하는 등 관련 정책이나 지원을 총괄하는 부처를 명확히 정하지 않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탄소 저장소가 부족한 국가는 런던협약(폐기물 및 기타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협약)에 따라 포집된 탄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국가 간 협약이 선행돼야 한다. 또 양국이 모두 런던의정서 개정안에 대한 수락서를 국제해사기구(IMO)에 기탁해야 한다.
정이균 한국CCUS추진단 단장은 "탄소 저장소로 전환이 가능한 생산종료 예정 가스전을 확보하기 위해 각국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우리나라가 2022년 4월 런던의정서 개정안 수락서를 IMO에 기탁 완료한 만큼 탄소 저장소를 확보하고 있는 상대 국가도 런던의정서 개정안 수락서를 IMO에 조속히 기탁하도록 협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가 목표와 계획이 확정된 만큼 탄소중립 수단에 대한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본격적인 이행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며 "유럽, 미국과 같이 탄소중립 기술과 산업을 명확히 지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탄소중립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가지 국가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시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