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학생 건강검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25일 ‘학생건강검진 제도개선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발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지금까지 학교장이 지정한 의료기관에서만 가능했던 학생건강검진을 향후 시범사업을 거쳐 학생과 학부모가 원하는 검진 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검진 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관리포털시스템’을 통해 영유아부터 성인기에 걸친 통합 건강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내년 시범사업으로 먼저 운영한 후 전면 시행 시기를 결정할 계획이다.
추진단은 교육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시·도교육청, 그리고 관련 학회와 협회, 교원단체 등 민간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 이날 회의에서는 ▲관계부처 및 기관별 역할과 ▲2024년 시범사업 추진방향 ▲관련 예산 ▲추가 인력 확보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교육부 고영종 책임교육지원관은 “앞으로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공백없이 검진기록을 연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전국민의 생애주기별 건강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영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