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옹진군 대청‧소청, 덕적, 자월 연안 해역에 축구장 73개 크기인 52㎡에 인공어초 648개를 설치한다.
시는 이 사업을 위해 올해 시비 18억 원을 투입한다.
인공어초는 해양생물의 서식‧산란장 조성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으로 만든 일명 물고기 아파트다.
인공어초가 바닷속에 들어가게 되면 해조류가 부착하게 돼 어류, 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최상의 거주지가 된다.
시 어초관리위원회가 해역의 수심, 조류 등 해양 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선정한 어초 4종이 설치된다.
우선 14일엔 옹진군 대청‧소청 해역 16만㎡에 너비 13m, 높이 9m 규모의 대형 어초인 강제고기굴어초 2기가 설치된다.
넓은 공간에서 좁은 공간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 특성을 적용한 어초로 수심이 깊고 빠른 해역에 적합하다.
이어 9월부터 10월엔 덕적‧자월 해역 36만㎡에 사각형어초(300개), 터널형어초(140개), 신요철형어초(206개)도 설치할 예정이다.
시는 1973년부터 지난해까지 인공어초 시설사업을 실시해 여의도 면적의 약 42배인 1억 2265만㎡ 규모 어초 어장을 조성했다.
올해부터 인공어초 시설사업 전‧후로 해양환경영향조사를 실시할 계획인데, 대상 해역 현황, 수산 자원량 및 해양 환경 등을 조사한다. 인공어초 시설사업이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수산자원조성 효과 등을 정밀하게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또 인공어초 설치상태 조사, 폐기물 조사‧처리, 어초어장 기능성 분석 등 인공어초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사후관리 사업인 어초어장관리사업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지난해 실시한 어초어장관리사업의 어초어장 기능성 분석에서는 인공어초를 설치한 해역이 설치하지 않은 해역에 비해 어획량이 2.2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국현 시 수산과장은 “앞으로 각 해역에 적합한 인공어초를 설치해 풍요로운 수산자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소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