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내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등 분산된 기후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후‧에너지 데이터포털’을 국내 최초로 구축한다.
기후‧에너지 데이터포털이 구축되면 도내 전체 탄소저감 효과 확인과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선정, 재생에너지 거래, 폭염‧집중호우 대책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16일 경기도청에서 경기연구원,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과 공동으로 포럼을 열고 ‘경기 RE100 플랫폼’ 구축계획을 발표했다.
‘경기 RE100 플랫폼’은 지난 4월 도가 발표한 RE100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항공 라이다, 초분광 위성영상,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등을 활용한 기후‧에너지 분야 공간정보다.
도는 오는 9월 플랫폼 사업에 착수, 내년 상반기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으로, 이날 포럼에서 경기도형 기후‧에너지 데이터 종합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정책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항공 라이다, 초분광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도내 탄소 흡수량을 산출해 도내 전체 산림과 공원이 부족한 지역을 쉽게 찾아 향후 정책에 활용한다.
또 전기‧난방사용량 등 탄소배출량도 확인 가능해 도내 전체에서 얼마만큼의 탄소를 배출하고 흡수하는지 한 눈에 확인 가능하다.
도는 해당 데이터를 통해 탄소저감 효과까지 즉시 알 수 있는 만큼 효율적인 탄소저감 정책 수립이 가능해 정책 집행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도는 중장기적으로 개발사업 탄소총량제 도입 등 제도도 구상 중이다. 각종 개발사업으로 산림 등을 훼손하면 훼손된 만큼 녹지를 조성하거나 돈으로 보상하는 제도다.
도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도내 건축물, 유휴부지 등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최적 입지, 잠재량 등을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항공 라이다. 초분광 위성영상 등을 활용하면 도 전체 건물의 옥상‧지표면 현황을 쉽게 파악해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최적지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자가소비형 태양광 프로젝트 발전량을 인증하고 거래하는 전국 최초 분산에너지 관리시스템도 확인할 수 있다.
도는 경기 RE100 플랫폼을 통해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지역별‧지표면 온도 측정이 가능해 폭염‧수해 취약지역을 미리 파악해 사전 예방과 대책 수립할 수 있다.
이밖에도 각종 정책수립 지원은 물론 수집된 데이터를 민간에 개발해 기후테크 새싹기업 육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 도민이 건물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발적 실천도 유도한다.
김동연 지사는 “기후변화는 과학이고 데이터”라며 “건물에서 나오는 에너지와 탄소, 탄소저감 수준, 신재생에너지 생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플랫폼이 만들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말로만 공허하게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 아닌 과학과 데이터에 기반을 둔 플랫폼을 기초로 정책을 만들어 보겠다”며 “이는 대한민국에서 최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토대로 기업과 산단, 도민과 공공 등 4개 부문에서 경기 RE100을 차질 없이 수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고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