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특수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몰래 녹음’을 하는 등 교사를 불신하거나 반대로 장애아동이 폭행을 당하는 일들이 양극화된 채 지속되고 있어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의사소통이 미숙한 장애아동이 있는 특수교육 현장은 학부모와 교사 간 신뢰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어 교육당국의 뚜렷한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특수교육 현장에서 학부모는 인력부족 등으로 과도한 업무를 맡아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 교사를 신뢰할 수 없고, 교사는 아동학대 고소를 당할까봐 교육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수교육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는 인력부족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력부족은 특수교사에겐 업무 부담이 되며 학부모는 ‘바쁜’ 교사를 불신하게 돼 혼란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지난해 특수교육지원인력 배치현황에 따르면, 특수교육지원인력은 3명 중 1명 꼴로 사회복무요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있는 특수교육실무사 등이 배치돼야 하지만 인력부족으로 보충역 판정을 받은 20대 초반의 사회복무요원이 투입된다는 것이다.
이에 현장에서는 극단적인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22년 9월, 주호민 씨 부부는 자폐가 있는 아들의 바지 등에 녹음기를 넣어 담당 특수교사의 동의 없이 수업을 ‘몰래 녹음’했다.
반면 지난해 11월, 시흥의 한 언어치료센터에서는 학부모의 불신을 없애기 위해 설치한 폐쇄회로(CC)TV를 통해 한 재활치료사가 장애아동 3명을 폭행한 사실이 드러났다.
따라 경기도교육청은 특수교사를 지원하고 교육의 개방성을 높이는 ‘협력강사’라는 직종을 500명 신설 배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학부모와 교사가 갈등이 고조돼 법원까지 가는 것은 둘 다 상처받는 일”이라며 “특수교육 인력을 확대해 학생과 교사를 지원해주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장교사들은 도교육청의 방안이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특수교사노조의 한 관계자는 “통합학급은 사회복무요원조차 배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현 상황에서 인력확대가 되면 지금보다 공개성이 많아지는 등 극단적인 사건이 예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경기신문 = 이보현 기자 ]